링겔만효과
-
(40)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2. EU의 대응 방안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7. 02:02
목차오늘은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에 빠진 원인에 이어 EU가 경제성장 둔화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들을 제시하였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참고로 본문 내용이 매우(?) 길기 때문에 제 개인적인 의견 및 생각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2. 시사점으로 바로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산업별 대응 방안 (1) 에너지 부문 1) EU의 상황 EU의 경제성장 둔화 원인 중 하나는 EU의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탄소배출권 비용,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EU의 협상력 부족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아래 두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왼쪽 그래프는 주요 산업 부문에서 총생산비용 중 에너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 (연료 비용 / 총 생산 비용) X 100)을..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의 원인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2. 21:12목차최근 '부자 미국 가난한 유럽'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의 주 내용은 미국의 경우 높은 생산성과 노동시장 유연성을 바탕으로 더 부유해진 반면에 유럽은 높은 복지와 노동시간 감소로 인해 경제적 정체를 겪고 있다는 점 및 미국의 시장 경제 성장모델과 유럽의 복지 중심 성장모델 간 경쟁에서 미국이 경제적으로 유럽을 상대로 승리하였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해당 책을 읽으면서 항상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 주변국에 대한 내용만 접하다가 멀리 떨어진 유럽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어서 흥미로웠습니다. 그리고 마침 2024년 9월 EU(Europe Union, 유럽 연합) 관계자들이 작성한 'The future of European competitiveness'라는 보고서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