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따리
-
(46) 경제학으로 본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경제정상화 vs 전략적 선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11. 12:12
목차2025년 1월 24일 일본은행(BOJ, Bank Of Japan)은 지속적인 임금 및 물가의 상승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적으로 타당한 선택이었는지 혹은 국제정치·외교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본 내 임금, 가계 소비, 기업 투자 목적 대출, 물가, 환율, 채권 등 여러 경제 요소들을 살펴보면서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임금 및 가계소비 부문 보통 임금이 상승할 경우 소비의 증가를 통해 물가가 상승하게 되며, ..
(45) 경제학으로 본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5. 11:32목차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및 실행력이 매우 변화무쌍하고 파격적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① 2025년 2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이 열렸고,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및 미국-러시아 외교 관계 정상화 등을 논의했으며, ② 2025년 2월 2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에서 다음과 같은 투표 결과가 나왔으며,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 투표 결과 정리 - 투표 기구투표 번호 및 제목투표 결과기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UNSC) - S/RES/2774(2025) - On imploring a swi..
(44) 경제학으로 본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 실효성 있는 정책일까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2. 13:46목차오늘은 '(25) 경제학으로 본 한국 경제의 금리 정책 딜레마'에 이어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한 것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했는데, 개인적으로 이번 기준금리 인하 발표는 지극히 단기적이고 내수 시장만 고려한 것이 아닌가라는 강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 한국의 기준금리 추이(좌측 그래프)와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우측 그래프) 비교 -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 및 소비 부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다음과 같은 정책 효과를 기대하는 정책입니다. 기준금리 인하(▼) → 시장 금리 인하(▼) → 기업의 투자 및 개인의 소비 증가(▲) → ..
4. 영화 '에이아이(A.I.)'로 본 로봇 & AI 산업의 현재와 미래생각보따리/내 맘대로 영화 리뷰 2025. 2. 28. 08:45목차1. 프롤로그 최근 AI 및 로봇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로봇과 관련된 영상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로봇 기업들의 영상을 보면서 예전에는 상상만 하던 것들이 실제 구현되고 있는 현실이 흥미롭기도 하면서 매우 놀라웠습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앞으로 펼쳐질 모습이 궁금해지면서 로봇을 주제로 다룬 영화인 에이아이(A.I., Artificial Intelligence)가 갑자기 떠올랐습니다. 극장에서 본 영화 A.I.는 당시 어린 저에게 스티븐 스틸버그 감독의 상상력 및 영화 속 메시지를 통해 받은 감동 등 강렬한 인상을 주었고, 어른이 된 지금도 제 머리 속에 강하게 각인되어 있었는데, 최근 AI 및 로봇 산업 분야에 대한 뉴스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다시 감상하게 되었습니다. 2. 시놉시스..
(43) 경제학으로 본 우클릭 vs 좌클릭, 선거에서 중도층을 잡아야 하는 이유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6. 23:32목차최근 국내 정치상황이 다이나믹(?)하게 돌아감에 따라 유력 정치인들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준비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책 및 공약을 미리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ㅇㅇㅇ 정치인이 우클릭했다(또는 좌클릭했다)."라는 내용 및 "이번 선거의 승패는 중도층의 표심을 누가 잡느냐에 달려 있습니다."라는 내용 등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을 경제학 이론인 '중위투표자 이론(MVT, Median Voter Theorem)'에 적용할 경우 '중도층 공략'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필수 공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중위투표자 이론이란 무엇일까요? 1. 중위투표자 이론 중위투표자 이론은 후보자가 선거에서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중위투표자(Median, 중도층)의 표를 얻..
(42) 경제학으로 본 미국 달러 패권 vs 중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전략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5. 11:32목차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의 광범위한 관세전쟁 및 양자 협상(1:1 협상)을 통한 협상력 강화(높은 협박의 수위) 및 다자주의 결속력 약화가 국제 사회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의 협상 태도는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에서도 다루었듯이, 세계 공통어인 '영어'(문화적 측면),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경제적 측면) 그리고 세계 최대 군사력(군사적 측면)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달러 패권(Dollarization)의 경우 최근 암호화폐와도 크게 연관이 있는데,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mBridge 프로젝트 혹시 'mBridge 프로젝트'라고 들어보셨나요? '..
(41) 경제학으로 본 요즘 대학생들의 빡센 현실: 대학교 졸업장이 이렇게 비쌌나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1. 01:42목차최근 “밤새 술마시던 대학가 초토화’ 씨마른 알바에 500만원 등록금 어쩌나 [세상&]"라는 기사를 우연히 접하게 되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대학교 등록금이 서서히 오르고 있어서 많은 부모님 및 학생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해당 기사를 보고 현재 대학생들의 상황이 어떠한지 제대로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해당 기사의 내용이 실제 맞는지 여부 및 요즘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금전적인 어려움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다루어 보았습니다. 1. 대학교 등록금 및 재학생 추이 다음은 (2016 ~ 2024년) 대학교 등록금 및 재학생 추이를 정리한 차트 및 표입니다. - 대학교 평균 등록금(천 원) 및 재학생(명) 추이(2016 ~ 2..
3. '쇼생크 탈출'로 본 앤디 듀프레인과 피그말리온 효과생각보따리/내 맘대로 영화 리뷰 2025. 2. 19. 01:52목차1. 프롤로그 어제 저녁, 스마트폰 속 사진을 정리하다가 우연히 캡쳐해 둔 '쇼생크 탈출(The Shawshank Redemption)' 포스터 사진을 발견하였습니다. 사진을 보면서 '내가 언제 이 영화를 처음 봤었지?'라고 기억을 더듬어보니, 20대 워킹홀리데이를 보냈던 시기에 게스트하우스에서 만났던 외국인 친구들로부터 받은 영화 중 가장 제목이 강렬해서 보게 된 것이 영화 '쇼생크 탈출'에 대한 저의 첫 기억이었습니다ㅎㅎㅎ 당시 부족한 영어 때문에 눈치껏 이해하며 감상했던 쇼생크 탈출을 한국에 돌아와서 한글 자막이 정확히 싱크된 영상으로 다시 본 후, 이 영화가 왜 역대급 영화인지 그때서야 알 수 있었습니다......ㅋㅋㅋ 2. 시놉시스 주인공 앤디 듀프레인(팀 로빈스가 연기)은 바람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