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 영화 '에이아이(A.I.)'로 본 로봇 & AI 산업의 현재와 미래
    생각보따리/내 맘대로 영화 리뷰 2025. 2. 28. 08:45
    반응형

    목차

      1. 프롤로그

       

      최근 AI 및 로봇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자연스럽게 로봇과 관련된 영상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여러 로봇 기업들의 영상을 보면서 예전에는 상상만 하던 것들이 실제 구현되고 있는 현실이 흥미롭기도 하면서 매우 놀라웠습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앞으로 펼쳐질 모습이 궁금해지면서 로봇을 주제로 다룬 영화인 에이아이(A.I., Artificial Intelligence)가 갑자기 떠올랐습니다.

       

      극장에서 본 영화 A.I.는 당시 어린 저에게 스티븐 스틸버그 감독의 상상력 및 영화 속 메시지를 통해 받은 감동 등 강렬한 인상을 주었고, 어른이 된 지금도 제 머리 속에 강하게 각인되어 있었는데, 최근 AI 및 로봇 산업 분야에 대한 뉴스를 보면서 자연스럽게 다시 감상하게 되었습니다.

       

      영화 A.I.(Artificial Intelligence) 속 데이빗이 자신의 존재(여러 데이빗 로봇 중 하나)를 인지한 후 충격을 받고 넋이 나간 모습(사진 출처:Warner Bros. Pictures & DreamWorks)
      영화 A.I.의 주인공 역인 데이빗을 연기한 할리 조엘 오스먼트은 영화 '포레스트 검프' 속 포레스트의 아들로 나왔었고, 영화 '식스센스' 속 귀신을 보는 초능력을 지닌 소년 역을 맡은 그 배우가 맞습니다!(사진 출처: 영화 A.I.(Artificial Intelligence, 2001년 작품), Warner Bros. Pictures & DreamWorks).

       

       

      2. 시놉시스

       

      데이빗은 순수한 마음으로 부모를 사랑하는 아이를 모델로 제작된 로봇으로, 원인 모를 바이러스로 의식불명인 자식(마틴)을 둔 헨리 & 모니카 부부에게 맡겨집니다.

       

      처음에는 로봇이라는 거부감에 사랑을 주지 못하던 부부는 서서히 마음을 열고 데이빗을 아들로 받아들이지만, 어느 날 기적적으로 의식을 회복한 마틴이 부부에게 돌아오면서 데이빗은 부부의 '아들'에서 단지 '애정이 깃든 로봇' 그 사이에 자리잡게 됩니다.

       

      그리고 데이빗은 부모의 사랑과 관심을 두고 마틴과 경쟁하다가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버려지게 되는데, 데이빗은 자신이 인간이 아니라서 버림받았다고 자각하게 되면서, 동화 속 피노키오처럼 '진짜 인간'이 되기 위해 푸른 요정을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데...

       

       

      3. 에필로그   

       

      개인적으로 영화 'A.I.'는 반드시 감상하시길 강력 추천합니다.

       

      그 이유는 이 영화가 단순히 미래 사회에 인간과 매우 흡사한 로봇의 등장을 다룬 것뿐만 아니라 부모와 자식 간 사랑, 로봇이 인간과 같은 사고와 감정을 가지고 있을 때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여부, 희망을 잃지 않고 끝까지 푸른 요정에게 소원을 비는 데이빗의 간절함 등 여러 요소들이 매우 감동적으로 다가오기 때문입니다.

       

      또한, 런타임 2:03:30부터 펼쳐지는 영화 속 대사 및 나래이션은 표현 하나하나가 매우 낭만적이고 철학적이기 때문에 꼭 집중해서 감상하시길 추천합니다.

       

       

      그리고 영화 A.I.를 감상한 후 영화 속 내용이 막연한 상상이 아니라 현실에서 조만간 일어날 거라는 생각도 들었는데, 다음의 영상들을 보면 제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공감하실 것입니다.

       

      먼저, 첫번째 영상은 노르웨이에 본사를 둔 1X Technologies가 2024년 1월에 공개한 홍보 영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들이 소품들을 스스로 정리하는 내용입니다.

       

      2024년 1월에 촬영된 휴머노이드 로봇의 모습(영상 출처: 1X 유튜브 공식 채널)

       

       

      다음 영상은 2025년 2월 22일에 업로드된 1X Technologies의 NEO Gamma를 소개한 영상입니다.

       

      1년 사이에 더 자연스럽고, 능숙하게 집안일을 거드는 NEO Gamma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영상 출처: 1X 유튜브 공식 채널)

       

       

      두 영상을 보면, 1X Technologies가 불과 1년 만에 더 자연스럽고 능숙하게 작동하는 NEO Gamma를 선보이면서,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휴머노이드 로봇을 발전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2025년 1월 28일 춘절에 선보인 중국 유니트리(Unitree)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H1이 군무를 추는 모습을 담은 영상입니다.

      중국은 휴머노이드 로봇뿐만 아니라, 군사용 드론과 상업용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급속한 기술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조만간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예정입니다. (영상 출처:CCTV Video News Agency 유튜브 채널)

       

       

      해당 영상 속 휴머노이드 로봇들의 부드러운 동작과 박자감은 2010년대 중반부터 중국 정부가 추진한 ‘중국제조 2025(中国制造2025)’와 ‘신세대 AI 발전 계획(新一代人工智能发展规划)’의 성과 중 하나로 볼 수 있습니다.

       

       

      앞에서 시청한 3개의 유튜브 영상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영화 속 데이빗이 실제 우리 삶에 등장하기 위해서는 로봇 및 AI 분야가 공동 발전 및 융합되어야 한다는 점 및 우리가 생각보다 빨리 데이빗을 만날 수 있을 거 같다는 점입니다.

       

      또한, 로봇 및 AI 분야의 발전은 전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저출산 및 고령화 문제, 노동인구 부족 및 생산성 하락 문제 해결 및 국제사회 내 군비경쟁 촉진 등 여러 분야와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국가의 모든 역량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는 그렇지 못한 상황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로봇 및 AI 분야의 국제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하루빨리 정치인 및 관료들이 로봇 및 AI 분야 육성의 필요성과 시급성을 인지하여 필요한 정책 및 투자 확대를 위한 예산을 시급히 마련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해당 분야의 인재 육성 및 인프라 확대를 위해 민(기업)·관(정부) ·학(교육)의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