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
(46) 경제학으로 본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경제정상화 vs 전략적 선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11. 12:12
목차2025년 1월 24일 일본은행(BOJ, Bank Of Japan)은 지속적인 임금 및 물가의 상승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적으로 타당한 선택이었는지 혹은 국제정치·외교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본 내 임금, 가계 소비, 기업 투자 목적 대출, 물가, 환율, 채권 등 여러 경제 요소들을 살펴보면서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임금 및 가계소비 부문 보통 임금이 상승할 경우 소비의 증가를 통해 물가가 상승하게 되며, ..
-
(45) 경제학으로 본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5. 11:32
목차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및 실행력이 매우 변화무쌍하고 파격적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① 2025년 2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이 열렸고,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및 미국-러시아 외교 관계 정상화 등을 논의했으며, ② 2025년 2월 2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에서 다음과 같은 투표 결과가 나왔으며,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 투표 결과 정리 - 투표 기구투표 번호 및 제목투표 결과기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UNSC) - S/RES/2774(2025) - On imploring a swi..
-
(44) 경제학으로 본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 실효성 있는 정책일까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2. 13:46
목차오늘은 '(25) 경제학으로 본 한국 경제의 금리 정책 딜레마'에 이어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한 것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했는데, 개인적으로 이번 기준금리 인하 발표는 지극히 단기적이고 내수 시장만 고려한 것이 아닌가라는 강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 한국의 기준금리 추이(좌측 그래프)와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우측 그래프) 비교 -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 및 소비 부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다음과 같은 정책 효과를 기대하는 정책입니다. 기준금리 인하(▼) → 시장 금리 인하(▼) → 기업의 투자 및 개인의 소비 증가(▲) → ..
-
(43) 경제학으로 본 우클릭 vs 좌클릭, 선거에서 중도층을 잡아야 하는 이유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6. 23:32
목차최근 국내 정치상황이 다이나믹(?)하게 돌아감에 따라 유력 정치인들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준비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책 및 공약을 미리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ㅇㅇㅇ 정치인이 우클릭했다(또는 좌클릭했다)."라는 내용 및 "이번 선거의 승패는 중도층의 표심을 누가 잡느냐에 달려 있습니다."라는 내용 등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을 경제학 이론인 '중위투표자 이론(MVT, Median Voter Theorem)'에 적용할 경우 '중도층 공략'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필수 공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중위투표자 이론이란 무엇일까요? 1. 중위투표자 이론 중위투표자 이론은 후보자가 선거에서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중위투표자(Median, 중도층)의 표를 얻..
-
(42) 경제학으로 본 미국 달러 패권 vs 중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전략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5. 11:32
목차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의 광범위한 관세전쟁 및 양자 협상(1:1 협상)을 통한 협상력 강화(높은 협박의 수위) 및 다자주의 결속력 약화가 국제 사회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의 협상 태도는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에서도 다루었듯이, 세계 공통어인 '영어'(문화적 측면),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경제적 측면) 그리고 세계 최대 군사력(군사적 측면)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달러 패권(Dollarization)의 경우 최근 암호화폐와도 크게 연관이 있는데,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mBridge 프로젝트 혹시 'mBridge 프로젝트'라고 들어보셨나요? '..
-
(41) 경제학으로 본 요즘 대학생들의 빡센 현실: 대학교 졸업장이 이렇게 비쌌나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1. 01:42
목차최근 “밤새 술마시던 대학가 초토화’ 씨마른 알바에 500만원 등록금 어쩌나 [세상&]"라는 기사를 우연히 접하게 되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대학교 등록금이 서서히 오르고 있어서 많은 부모님 및 학생들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어렴풋이 알고 있었는데, 해당 기사를 보고 현재 대학생들의 상황이 어떠한지 제대로 알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해당 기사의 내용이 실제 맞는지 여부 및 요즘 대학생들이 겪고 있는 금전적인 어려움이 어느 정도 수준인지에 대해 종합적으로 다루어 보았습니다. 1. 대학교 등록금 및 재학생 추이 다음은 (2016 ~ 2024년) 대학교 등록금 및 재학생 추이를 정리한 차트 및 표입니다. - 대학교 평균 등록금(천 원) 및 재학생(명) 추이(2016 ~ 2..
-
(40)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2. EU의 대응 방안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7. 02:02
목차오늘은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에 빠진 원인에 이어 EU가 경제성장 둔화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들을 제시하였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참고로 본문 내용이 매우(?) 길기 때문에 제 개인적인 의견 및 생각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2. 시사점으로 바로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산업별 대응 방안 (1) 에너지 부문 1) EU의 상황 EU의 경제성장 둔화 원인 중 하나는 EU의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탄소배출권 비용,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EU의 협상력 부족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아래 두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왼쪽 그래프는 주요 산업 부문에서 총생산비용 중 에너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 (연료 비용 / 총 생산 비용) X 100)을..
-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의 원인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2. 21:12
목차최근 '부자 미국 가난한 유럽'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의 주 내용은 미국의 경우 높은 생산성과 노동시장 유연성을 바탕으로 더 부유해진 반면에 유럽은 높은 복지와 노동시간 감소로 인해 경제적 정체를 겪고 있다는 점 및 미국의 시장 경제 성장모델과 유럽의 복지 중심 성장모델 간 경쟁에서 미국이 경제적으로 유럽을 상대로 승리하였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해당 책을 읽으면서 항상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 주변국에 대한 내용만 접하다가 멀리 떨어진 유럽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어서 흥미로웠습니다. 그리고 마침 2024년 9월 EU(Europe Union, 유럽 연합) 관계자들이 작성한 'The future of European competitiveness'라는 보고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