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
(22) 경제학으로 본 에너지 공기업 부채, 요금 현실화만으로 해결될까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23. 23:37
목차 오늘 한국전력공사가 내년(2025년) 1분기 전기요금이 올해(2024년)과 마찬가지로 킬로와트시(kwh)당 5원을 유지한다고 밝힌 뉴스를 봤습니다.→ 출처: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922249 내년 1분기까지 전기세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지 않는 것에 대해 옅은 웃음이 뛰었지만, 예전부터 들었던 한국전력공사 누적적자 및 한국가스공사 미수금 누적에 대한 이슈가 생각이 났습니다. 이전부터 이에 대해 다루어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이때다 싶어서 오늘은 이와 같은 에너지 공기업 관련 적자 규모 및 이와 관련된 제 개인적인 견해를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주요 에너지 공기업 재정 상태 1) 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공사는 발전 자회사..
(21) 경제학으로 본 임상옥과 조선 인삼, 담합을 깨뜨린 희소성 전략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21. 23:25목차 오늘 우연히 TV 채널을 돌리다 옛날 드라마인 '상도'를 보게 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인삼교역으로 거부가 된 '임상옥'이란 인물을 다룬 드라마인데, 주인공인 임상옥을 연기한 이재룡 배우의 젊은 시절 모습을 보니 세월이 훌쩍 흘러갔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2001년도 작품이니 20년이 넘었네요ㅎ) 그래서 필이 꽂혀서 오랜만에 최인호 작가의 소설 '상도'도 간만에 재미있게 읽었습니다ㅎㅎㅎ 그리고 북경 약재상들의 담합을 깨트리는 내용은 다시 봐도 엄청난 카타르시스가 느껴졌고, 이 내용에 대해 다루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임상옥'이란 인물에 대한 간략한 소개 및 그가 어떻게 청나라 약재상들의 담합을 깨트렸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의주 만상의 대방 임상옥 먼저, 임상옥에 대한 ..
(20)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관세전쟁, 블러핑인가 전략적 계산인가?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9. 23:43목차최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대통령 업무를 시작할 경우 대외무역에서 무차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11월 25일, 2025년 1월 20일 취임 즉시 NAFTA로 묶인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습니다. 그런데 보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상대국의 보복관세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양국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펼치려는 공격적인 관세부과 정책은 무역수지 개선보다 관세수입 확대 측면이 강합니다. 즉, 트럼프 2기에서 시행할 법인세 및 소득세 인하에 대한 세수 부족분을 관세수입으로 충당할 목적이 강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최대 60%)를 부과할 것이라는 선언이 블러핑이..
(19) 경제학으로 본 외국계 합종연횡이 우려되는 국내 렌터카 시장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8. 12:19목차최근 국내 렌터카 시장에서의 예사롭지 못한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홍콩 기반 사모펀드인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Affinity Equity Partners)가 2024년 6월 SK 렌터카를 약 8,200억 원에 인수했고, 12월에는 롯데렌탈의 지분 56.2%를 약 1조 6,000억 원에 인수하는 양해각서를 체결 후 발표했으며,→출처: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14 [이슈분석] '웃돈' 주고 렌터카 1·2위 싹쓸이한 中 자본…BYD 韓 진출 교두보 되나 - 오피니언뉴스[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이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니티)에 매각된다.어피니티는 약 ..
(18) 경제학으로 본 ESG의 허와 실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6. 17:10목차 대략 2020년을 전후 국가, 재계, 금융 분야 등에서 'ESG' 준수가 다시 세계적인 화두가 되었습니다. 'Environment(환경)', 'Social(사회)' 그리고 'Governance(지배구조)'의 중요성과 각국 정부 및 기업의 관심과 준수를 강조하는 내용인데 겉으로 봤을 때 아주 이상적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는 개인적으로 이와 같은 내용을 '유토피아'적으로 바라보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ESG' 등장의 배경 및 세계 강대국들의 대응과 반응 등이 저를 의심쩍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제 맘대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SG의 등장 배경'ESG'는 20년 전인 2004년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와 금융기관들이 함께 발간한..
(17) 경제학으로 본 토트넘 레비회장의 손흥민 계산법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4. 22:17목차 축구를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최근 토트넘의 손흥민 선수의 재계약 협상이 지지부진한 것에 많은 답답함을 느끼시라 생각합니다. 물론 같은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손흥민 선수가 토트넘의 레전드로 남기를 바라지만, 비즈니스는 비즈니스인 만큼 토트넘 측에서 어떻게 계산기를 두드리고 있을지 참 궁금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 협상의 결정권자인 토트넘의 레비 회장이 어떤 결정을 할 것인지 경제학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레비 회장이 생각하는 비용 토트넘 구단이 손흥민 선수와 계약해서 경기 출전, 투어, 행사 등을 하는데 손흥민 선수를 투입하는 것은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보유한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과 일맥상통할 것입니다. 그렇다면 토트넘의 가계부에는 손흥민 선수에 대해 어떻게 정산을 해서 기록하고..
(16) 경제학으로 본 "당신이 쿠팡을 끊기 어려운 이유"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3. 00:53목차우리는 스마트폰으로 지인들과 '카카오톡'으로 소통하고, '인스타그램'으로 자기자랑(?)도 하고, 배달앱을 통해 요기를 때우고, '유튜브'로 여러 크리에이터들의 콘텐츠를 상당 시간 소비하며, 다양한 OTT(Over The Top) 서비스로 수많은 엔터테이먼트 콘테츠들을 아주 쉽게 소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필요한 물건이 있으면 '쿠팡'에서 주문하여 다음날 '로켓배송'을 통해 바로 물건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대부분의 문제들을 해결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 기업들은 스마트폰의 주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자신들의 제품과 서비스가 효율적으로 노출되도록 마케팅에 사활을 걸어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와 관련된 '록인효과(Rock In Effect)'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
(15) 경제학으로 본 "유동성 무제한 공급이 뭔가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1. 13:49목차1. 우하향 중인 코스피 및 환율지수 최근 한국 경제는 구조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 있다는 뉴스를 아주 쉽게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뉴스를 확인해 볼 겸 경제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코스피 지수를 아래의 차트와 같이 확인해 봤습니다. 그리고 검은색 추세선이 우상향이 아닌 우하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 한숨부터 나왔습니다...... 그리고 추출한 2024년 하반기 코스피 지수 차트를 보면서 아래와 같이 3가지 특이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A지점: 이때까지만 해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미연준의 금리(5.25~5.50%) 동결 가능성 시사, 상속세 및 증여세 인하 및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추진와 배당소득세율 조정 등과 같은 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