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조세
-
(15) 경제학으로 본 "유동성 무제한 공급이 뭔가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1. 13:49
목차1. 우하향 중인 코스피 및 환율지수 최근 한국 경제는 구조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 있다는 뉴스를 아주 쉽게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뉴스를 확인해 볼 겸 경제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코스피 지수를 아래의 차트와 같이 확인해 봤습니다. 그리고 검은색 추세선이 우상향이 아닌 우하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 한숨부터 나왔습니다...... 그리고 추출한 2024년 하반기 코스피 지수 차트를 보면서 아래와 같이 3가지 특이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A지점: 이때까지만 해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미연준의 금리(5.25~5.50%) 동결 가능성 시사, 상속세 및 증여세 인하 및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추진와 배당소득세율 조정 등과 같은 정..
(12) 경제학으로 본 "국가부채, 없는 것이 최선일까?"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4. 14:45목차 안녕하세요,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25%에서 3%로 인하하면서(24'.11.28.) 경기침체에 대응하고자 한다는 뉴스를 보면서 '과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만으로 지금의 상황을 타개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나라 사정이 얼마나 좋지 못한가?' 라는 물음과 함께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국가채무를 확인해 봤습니다. - 한국의 연도별 누적 국가채무 규모 - 위의 그래프 및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채무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기준금리 하락) 외 추가적인 정부 재정지출이 확대될 경우 국가채무가 늘어날 것인데, 앞으로 어떻게 국가채무가 관리되어야 할지에 대해 다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