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대리인문제
-
(44) 경제학으로 본 한국은행 기준금리 2.75%, 실효성 있는 정책일까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2. 13:46
목차오늘은 '(25) 경제학으로 본 한국 경제의 금리 정책 딜레마'에 이어 2025년 2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한 것에 대해 다루어보고자 합니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0%에서 2.75%로 인하를 결정했는데, 개인적으로 이번 기준금리 인하 발표는 지극히 단기적이고 내수 시장만 고려한 것이 아닌가라는 강한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 한국의 기준금리 추이(좌측 그래프)와 미국의 기준금리 추이(우측 그래프) 비교 - 제가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투자 및 소비 부문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는 다음과 같은 정책 효과를 기대하는 정책입니다. 기준금리 인하(▼) → 시장 금리 인하(▼) → 기업의 투자 및 개인의 소비 증가(▲) → ..
(43) 경제학으로 본 우클릭 vs 좌클릭, 선거에서 중도층을 잡아야 하는 이유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6. 23:32목차최근 국내 정치상황이 다이나믹(?)하게 돌아감에 따라 유력 정치인들이 차기 대통령 선거를 준비함과 동시에 자신들의 정책 및 공약을 미리 선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ㅇㅇㅇ 정치인이 우클릭했다(또는 좌클릭했다)."라는 내용 및 "이번 선거의 승패는 중도층의 표심을 누가 잡느냐에 달려 있습니다."라는 내용 등을 자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내용을 경제학 이론인 '중위투표자 이론(MVT, Median Voter Theorem)'에 적용할 경우 '중도층 공략'은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한 필수 공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중위투표자 이론이란 무엇일까요? 1. 중위투표자 이론 중위투표자 이론은 후보자가 선거에서 지지율을 높이기 위해 중위투표자(Median, 중도층)의 표를 얻..
(19) 경제학으로 본 외국계 합종연횡이 우려되는 국내 렌터카 시장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8. 12:19목차최근 국내 렌터카 시장에서의 예사롭지 못한 움직임들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홍콩 기반 사모펀드인 어피니티 에쿼티 파트너스(Affinity Equity Partners)가 2024년 6월 SK 렌터카를 약 8,200억 원에 인수했고, 12월에는 롯데렌탈의 지분 56.2%를 약 1조 6,000억 원에 인수하는 양해각서를 체결 후 발표했으며,→출처: https://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9614 [이슈분석] '웃돈' 주고 렌터카 1·2위 싹쓸이한 中 자본…BYD 韓 진출 교두보 되나 - 오피니언뉴스[오피니언뉴스=박대웅 기자] 국내 렌터카 1위 롯데렌탈이 홍콩계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니티)에 매각된다.어피니티는 약 ..
(15) 경제학으로 본 "유동성 무제한 공급이 뭔가요?"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1. 13:49목차1. 우하향 중인 코스피 및 환율지수 최근 한국 경제는 구조적인 경기 침체를 겪고 있다는 뉴스를 아주 쉽게 접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래서 이러한 뉴스를 확인해 볼 겸 경제상황을 알아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인 코스피 지수를 아래의 차트와 같이 확인해 봤습니다. 그리고 검은색 추세선이 우상향이 아닌 우하향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면 한숨부터 나왔습니다...... 그리고 추출한 2024년 하반기 코스피 지수 차트를 보면서 아래와 같이 3가지 특이점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A지점: 이때까지만 해도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 실적 개선 기대감, 미연준의 금리(5.25~5.50%) 동결 가능성 시사, 상속세 및 증여세 인하 및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추진와 배당소득세율 조정 등과 같은 정..
(12) 경제학으로 본 "국가부채, 없는 것이 최선일까?"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4. 14:45목차 안녕하세요,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25%에서 3%로 인하하면서(24'.11.28.) 경기침체에 대응하고자 한다는 뉴스를 보면서 '과연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정책만으로 지금의 상황을 타개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나라 사정이 얼마나 좋지 못한가?' 라는 물음과 함께 다음과 같이 우리나라 국가채무를 확인해 봤습니다. - 한국의 연도별 누적 국가채무 규모 - 위의 그래프 및 표에서 알 수 있듯이 국가채무 규모가 점점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행의 통화정책(기준금리 하락) 외 추가적인 정부 재정지출이 확대될 경우 국가채무가 늘어날 것인데, 앞으로 어떻게 국가채무가 관리되어야 할지에 대해 다뤄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국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