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전쟁
-
(46) 경제학으로 본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경제정상화 vs 전략적 선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11. 12:12
목차2025년 1월 24일 일본은행(BOJ, Bank Of Japan)은 지속적인 임금 및 물가의 상승 등을 이유로 기준금리를 0.25%에서 0.5%로 인상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은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인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적으로 타당한 선택이었는지 혹은 국제정치·외교적 요인이 더 크게 작용한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본 내 임금, 가계 소비, 기업 투자 목적 대출, 물가, 환율, 채권 등 여러 경제 요소들을 살펴보면서 기준금리 인상의 배경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임금 및 가계소비 부문 보통 임금이 상승할 경우 소비의 증가를 통해 물가가 상승하게 되며, ..
-
(37)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8. 23:24
목차오늘은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에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부과 행정명령을 서명한 이후의 진행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관세부과 내용 - 국가 기존 관세율* 트럼프 2기 추가 관세 총 관세율 적용 품목 면제 품목 추가 조치 시행 일정 캐나다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석유·천연가스에 10%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
-
(25) 경제학으로 본 한국 경제의 금리 정책 딜레마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3. 09:59
목차오늘 '5대 은행 12월 가계대출 1조 증가… 작년 한해 42조↑'라는 기사를 우연히 읽게 되었습니다. 아주 짧은 기사였지만, 결국 가계의 빚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 내용이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및 환율정책 그리고 정책들에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들여다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우리나라 가계대출 추이를 바탕으로 정책당국 및 한국은행이 이를 바탕으로 어떤 정책을 펼쳤으며, 펼칠 예정인지에 대해 예상해 보고자 합니다. 1. 국민소득 항등식 살펴보기국민소득 항등식이란, 한 국가 내 경제주체들(정부, 기업, 가계)의 경제활동을 나타내주는 경제 공식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GDP = C(소비) + I(투자) + G(정부지출) + NX(순수출, 수출..
-
(20)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관세전쟁, 블러핑인가 전략적 계산인가?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9. 23:43
목차최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대통령 업무를 시작할 경우 대외무역에서 무차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11월 25일, 2025년 1월 20일 취임 즉시 NAFTA로 묶인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습니다. 그런데 보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상대국의 보복관세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양국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펼치려는 공격적인 관세부과 정책은 무역수지 개선보다 관세수입 확대 측면이 강합니다. 즉, 트럼프 2기에서 시행할 법인세 및 소득세 인하에 대한 세수 부족분을 관세수입으로 충당할 목적이 강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최대 60%)를 부과할 것이라는 선언이 블러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