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37)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
    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8. 23:24
    반응형

     

    목차

      오늘은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에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부과 행정명령을 서명한 이후의 진행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관세부과 내용 -

       

      국가  기존
      관세율*
      트럼프 2기 추가 관세  총 관세율  적용 품목 면제 품목 추가 조치 시행 일정
      캐나다 0%~25% +25% 추가 최대 50% 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
      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 석유·천연가스에 10% 추가 부과 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
      멕시코 0%~25% +25% 추가 최대 50% 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
      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품목 없음 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
      중국 7.5%~25% +10% 추가 최대 35% 전자제품, 기계, 자동차 부품, 반도체, 태양광 패널, 리튬 배터리, 철강·알루미늄 일부 의료기기, 농산물 국가안보 관련 품목은 추가 관세 가능성 검토 2025년 2월 4일부터 시행

      * 기존 관세 유지: 트럼프 1기(2018~2020년) 때 부과한 관세는 바이든 행정부 동안 유지되거나 일부 조정됨

      ※ 출처: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2/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imposes-tariffs-on-imports-from-canada-mexico-and-china/

      https://ustr.gov/issue-areas/enforcement/section-301-investigations/tariff-actions

      2024 REPORT TO CONGRESS ON CHINA'S WTO COMPLIANCE(미국 무역대표부(USTR), 2025년 1월)

      Adapting Trade Policy for Supply Chain Resilience: Responding to Today’s Global Economic Challenges(미국 무역대표부(USTR), 2025년 1월)

       

       

      위 표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은 크게 ¹⁾USMCA(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협정국인 캐나다 및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두 국가에 대한 영향력 강화 및 ²⁾두 국가를 통해 미국으로 우회 수출(일명 택갈이)하는 국가들에 대한 견제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에 대한 내용을 분석함과 동시에 앞으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어떤 방향으로 대외정책을 펼칠 것인지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1. 캐나다 및 멕시코 관세 부과

       

      앞서 언급했듯이 캐나다와 멕시코 두 국가는 USMCA(The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협정국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이 관세를 부과한 상황입니다. 

       

       

      * USMCA와 NAFTA(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비교

      구분 NAFTA USMCA
      발효 시점 1994년 1월 1일 발효  2020년 7월 1일 발효
      정식 명칭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북미자유무역협정)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
      협정 유형 자유무역협정(FTA) 자유무역협정(FTA, 기존 NAFTA 일부 개정)
      주요 목표 북미 3국 간 무역 자유화 및 관세 철폐 무역 자유화 & 자동차, 디지털 무역, 노동 기준 등 강화
      자동차 원산지 규정 북미산 부품 비율 62.5% 이상 북미산 부품 비율 75% 이상()
      자동차 산업 노동 기준 없음 북미산 차량의 40~45%는 시간당 최소 $16 이상 임금 노동자가 생산하도록 규정*
      노동 및 환경 보호 조항 약한 수준 노동 및 환경 보호 조항 강화*
      디지털 무역 조항 없음 데이터 보호, 전자상거래 활성화 강화
      지적재산권 보호 상대적으로 약함 저작권 보호 기간 연장, 위조품 단속 강화
      우유·유제품 시장 개방 제한적 캐나다의 유제품 시장 일부 개방 (미국산 유제품 접근 증가)
      중국과의 무역 관련 규정 없음 '비시장 경제국과의 FTA 금지 조항' 포함
      (회원국이 중국과 FTA 체결 시 다른 회원국이 협정 파기 가능)
      국가 간 
      반덤핑 및 상계관세 분쟁
      챕터 19를 통한 독립적인 중재 패널을 통해 해결
      정부 VS 기업 간 
      투자 분쟁
      챕터 11 (투자자-국가 소송제도, ISDS) 적용 캐나다 제외, 미국-멕시코 간 제한적 적용
      일반 무역 분쟁 챕터 20을 통한 패널 구성 후 조정 패널 구성이 더 강제적으로 시행되도록 변경
      협정 유효기간 무기한 16년 후 자동 종료 (6년마다 재검토 가능)

      ※ 출처: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미국 무역대표부(USTR), https://ustr.gov/trade-agreements/free-trade-agreements/united-states-mexico-canada-agreement)

       

       

      학문적으로는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두 국가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었지만, 실제로는 미국이 원하는 형태로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왜 그런지 다음과 같이 분석해 보았습니다.

       

      (1) 캐나다 관세 부과

       

      지금까지 진행되는 모습만 봤을 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 정책은 반은 '블러핑(Bluffing)' 및 '협박'인 반면에 반은 '약속대련'인 측면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앞서 (35)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VS 연준의 독립성에서 다루었듯이, 

       

       

      Tit-for-Tat(맞대응 전략),

      The Art of the Deal(거래의 기술),

      High-Stakes Bargaining(고위험 협상),

      Tough Negotiation(공격적인 협상 태도),

      Leverage Maximization(레버리지 극대화),

      Negotiation as a Performance(쇼로서의 협상),

      Personalization of Negotiation(협상의 개인화),

      No Fear of Walking Away(협상 파토에 대한 과감성)

       

       

      위와 같은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스타일을 봤을 때 트럼프 1기 행정부 시기의 학습효과를 바탕으로 이번 관세전쟁의 전략 목적은 미국에 유리한 협상을 이끌기 위한 목적 및 대중국 견제를 위한 우방국 단속 및 충성도(?) 확인을 위한 대전략이지 않냐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제가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석유 및 천연가스에 10% 추가관세 부과 측면

       

      아래는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및 천연가스 연수입 추이를 나타낸 차트입니다.

       

       

      -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및 천연가스 연수입 추이(2000 ~ 2022년) -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연수입 차트(2000 ~ 2020년)미국의 캐나다산 천연가스 연수입 차트(2020 ~ 2022)
      (좌측) 미국의 캐나다산 원유 수입 차트, (우측) 미국의 캐나다산 천연가스 수입 차트, 출처: EIA(미국 에너지정보청),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61184,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54759

       

       

      먼저, 캐나다는 미국 원유 수입량의 약 50%*를 그리고 미국 천연가스 수입량의 약 98.8%**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 2023년 기준 캐나다의 대미국 원유 수출량: 하루 평균 442만 배럴

      ** 2024년 기준 캐나다의 대미국 천연가스 수출량: 하루 평균 8.4억 입방피트(bcfd)

       

      하지만 캐나다는 TMX(Trans Mountain Pipeline Expansion) 프로젝트 건설을 통해 캐나다산 원유의 대미국, 대아시아 수송확대 기반을 구축하여(기존 30만 배럴/일(bpd)에서 89만 배럴/일(bpd)로 증가, 2024년 5월 완공), 대미국 수출 의존도를 낮춤과 동시에 아시아 수출을 늘리기 위한 기반을 구축한 상황입니다.

       

      반면에 미국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2025년 1월 20일에 통과시킨 행정명령*을 통해 파리협정(Paris Agreement) 탈퇴 및 자국 화석연료 생산 확대를 발표한 상황입니다.

      * PUTTING AMERICA FIRST IN INTERNATIONAL ENVIRONMENTAL AGREEMENTS EXECUTIVE ORDER

      * UNLEASHING ALASKA’S EXTRAORDINARY RESOURCE POTENTIAL EXECUTIVE ORDER

      * DECLARING A NATIONAL ENERGY EMERGENCY EXECUTIVE ORDER

       

      더욱이 미국이 알라스카 내 천연자원을 적극 개발하여 내수 공급 및 아시아 국가들을 대상으로 에너지 자원 수출을 본격화할 경우 오히려 캐나다는 미국과 에너지 자원 수출을 경쟁해야 하는 입장이 됩니다.

       

      캐나다 TMX(Trans Mountain Pipeline Expansion) 프로젝트 지도미국의 대중국 견제를 위한 우방국 현황 지도
      (좌측) 캐나다의 TMX(Trans Mountain Pipeline Expansion) 프로젝트 관련 지도, (우측) 미국의 중국 견제를 위해 형성한 세력을 나타낸 지도

       

      그렇기 때문에 캐나다 입장에서는 미국의 요구를 받아들임과 동시에 미국과 공동으로 태평양 및 아시아에 에너지 자원을 수출해야 하는 입장에 처해 있다고 생각됩니다. 

       

       

      즉,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부과 행정명령은 표면상으로 캐나다의 대미국 석유 및 천연가스 수출을 제재하는 내용이지만, 실상 위에서 다룬 내용을 고려할 때 미국은 캐나다에 대한 영향력을 지금보다 더욱 공고히 하여 태평양 및 아시아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대전략의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2) 멕시코 관세 부과

       

      다음은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수지(1994 ~ 2024년)를 정리한 표입니다.

       

       

      -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수지(1994 ~ 2024년) - 

      연도 대멕시코
      수출
      대멕시코
      수입
      미국
      전체 수출
      미국
      전체 수입
      대멕시코
      무역수지
      미국 전체
      무역수지
      대멕시코
      수출
      의존도
      대멕시코
      수입
      의존도
      대멕시코
      무역
      의존도
      1994 50,843.50 49,493.70 512,627.00 663,254.00 1,349.80 -150,627.00 9.92% 7.46% 8.53%
      1995 46,292.10 62,100.40 584,742.00 743,543.00 -15,808.30 -158,801.00 7.92% 8.35% 8.16%
      1996 56,791.60 74,297.20 625,077.00 795,290.00 -17,505.60 -170,213.00 9.09% 9.34% 9.23%
      1997 71,388.50 85,937.60 689,181.00 869,703.00 -14,549.10 -180,522.00 10.36% 9.88% 10.09%
      1998 78,772.60 94,629.00 682,137.00 911,896.00 -15,856.40 -229,759.00 11.55% 10.38% 10.88%
      1999 86,908.90 109,720.50 695,798.00 1,024,618.00 -22,811.60 -328,820.00 12.49% 10.71% 11.43%
      2000 111,349.00 135,926.30 781,918.00 1,218,021.00 -24,577.30 -436,103.00 14.24% 11.16% 12.36%
      2001 101,296.50 131,337.90 729,100.00 1,140,999.00 -30,041.40 -411,899.00 13.89% 11.51% 12.44%
      2002 97,470.10 134,616.00 693,104.00 1,161,366.00 -37,145.90 -468,262.00 14.06% 11.59% 12.51%
      2003 97,411.80 138,060.00 724,771.00 1,257,121.00 -40,648.20 -532,350.00 13.44% 10.98% 11.88%
      2004 110,731.30 155,901.50 814,874.50 1,469,703.00 -45,170.20 -654,828.50 13.59% 10.61% 11.67%
      2005 120,247.60 170,108.60 901,081.80 1,673,456.00 -49,861.00 -772,374.20 13.34% 10.17% 11.28%
      2006 133,721.70 198,253.20 1,025,969.00 1,853,939.00 -64,531.40 -827,970.00 13.03% 10.69% 11.53%
      2007 135,918.10 210,714.00 1,148,197.00 1,956,962.00 -74,795.80 -808,765.00 11.84% 10.77% 11.16%
      2008 151,220.10 215,941.60 1,287,441.00 2,103,641.00 -64,721.60 -816,200.00 11.75% 10.27% 10.83%
      2009 128,892.10 176,654.40 1,056,042.00 1,559,625.00 -47,762.20 -503,583.00 12.21% 11.33% 11.68%
      2010 163,664.60 229,985.60 1,278,493.00 1,913,858.00 -66,321.00 -635,365.00 12.80% 12.02% 12.33%
      2011 198,288.70 262,873.60 1,482,507.00 2,207,954.00 -64,584.90 -725,447.00 13.38% 11.91% 12.50%
      2012 215,875.10 277,593.60 1,545,820.80 2,276,267.10 -61,718.50 -689,469.90 13.97% 12.20% 12.91%
      2013 225,954.40 280,556.00 1,578,516.90 2,267,986.70 -54,601.70 -689,469.90 14.31% 12.37% 13.17%
      2014 241,007.20 295,730.00 1,621,873.80 2,356,356.10 -54,722.80 -734,482.30 14.86% 12.55% 13.49%
      2015 236,460.10 296,433.30 1,503,328.40 2,248,811.40 -59,973.20 -745,483.00 15.73% 13.18% 14.20%
      2016 230,228.80 293,500.60 1,451,459.00 2,186,785.00 -63,271.80 -735,326.00 15.86% 13.42% 14.40%
      2017 243,609.00 312,666.70 1,547,195.40 2,339,591.30 -69,057.80 -792,395.90 15.75% 13.36% 14.31%
      2018 265,968.00 343,680.50 1,665,786.90 2,536,145.30 -77,712.50 -870,358.40 15.97% 13.55% 14.51%
      2019 256,676.50 356,093.60 1,645,940.30 2,491,699.60 -99,417.10 -845,759.20 15.59% 14.29% 14.81%
      2020 212,512.80 323,476.90 1,429,995.40 2,331,477.20 -110,964.10 -901,481.80 14.86% 13.87% 14.25%
      2021 277,194.60 382,569.30 1,757,743.70 2,828,515.50 -105,374.70 -1,070,771.80 15.77% 13.53% 14.39%
      2022 324,207.10 452,032.20 2,066,454.00 3,239,872.70 -127,825.10 -1,173,418.80 15.69% 13.95% 14.63%
      2023 322,742.50 475,216.00 2,018,059.30 3,080,170.30 -152,473.50 -1,062,111.00 15.99% 15.43% 15.65%
      2024 334,041.40 505,850.60 1,894,475.00 2,968,988.10 -171,809.20 -1,074,513.10 17.63% 17.04% 17.27%

      ※ 단위: 백만 달러(All figures are in millions of U.S. dollars on a nominal basis)

      ※ 출처: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 Trade in Goods with Mexico, https://www.census.gov/foreign-trade/balance/c2010.html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 의존도는 1994년 8.53%에서 2024년 17.27%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수지(1994 ~ 2024년) 추이 차트
      출처: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데이터 기반 자체제작

       

       

      특히, 위의 차트를 보듯이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수지 적자폭이 2024년 기준 171,809,200,000 달러()로, 반대로 말하면 멕시코의 대미국 수출 의존도가 매우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습니다. 

      * 2024년 멕시코의 총 수출액은 약 6,171억 달러이며, 대미국 수출액은 약 5,059억 달러로 멕시코 수출의 약 82%가 대미국 수출인 상황입니다.

       

      미국의 대멕시코 수출, 수입, 무역의존도(1994 ~ 2024년) 추이 차트
      출처: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 데이터 기반 자체제작

       

       

      그리고 위 차트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미국의 대멕시코 무역의존도 또한 1994년 8.53%에서 2024년 17.27%로 지속 상승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서 보았듯이 멕시코 전체 수출의 약 82%를 차지하는 대미국 수출을 고려할 때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멕시코의 수긍하는 반응*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며, 미국의 멕시코에 대한 영향력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멕시코는 2025년 2월 3일 미국과의 합의를 통해 ¹⁾기존 미국의 관세조치를 1달간 유예하기로 합의 했으며, ²⁾미국과의 국경에서 마약 및 무기 밀매와 불법 이민을 억제하기 위해 1만 명의 국가방위군을 배치하기로 약속하며 국경 보안 강화에 적극 협조하기로 하였습니다.

       

       

      즉, 미국은 단순히 멕시코로부터 관세수입을 확보하는 측면을 넘어 멕시코에 대한 미국의 영향력을 강화하여 미국의 의도대로 협조하도록 협박(?) 및 강압을 하기 위한 목적이 다분히 깔려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2. 그린란드, 멕시코만, 파나마 운하

       

      이전에 다루었던 (28)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1. 그린란드, (29)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2. 멕시코만, (30)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3. 파나마 운하에서 보았듯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행보는 지극히 미국 우선주의에 기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¹⁾그린란드의 경우 그린란드 내 매장되어 있는 희토류 및 기타 광물 확보 그리고 북극해에서의 영향력 강화 등을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¹⁾그린란드에는 희토류(Rare Earth Elements)가 약 3,850만 톤(전 세계 매장량의 약 30% 수준), 석유가 1,100억 배럴, 천연가스가 약 4조 입방미터, 아연이 약 6,000만 톤, 우라늄이 약 8,800만 톤 매장되어 있으며, 이들의 잠재적 경제가치는 약 17조 달러로 추정됩니다.

       

      ²⁾멕시코만의 경우 'Gulf of America' 명칭 변경을 통한 미국의 멕시코만 보유에 대한 역사적 정당성 부각, 멕시코만 내 매장된 원유 및 천연자원 확보 그리고 중국·러시아의 중남미 영향력 확장 견제 등의 목적이 있으며,

      ²⁾2022년 기준, 미국 전체 원유 생산의 약 17%와 천연가스 생산의 5%가 멕시코만에서 생산되고 있습니다.

       

      ³⁾파나마 운하의 경우 미국의 서반구 국방 전략(Western Hemisphere Defense Strategy) 강화, 중남미 내 중국의 '일대일로' 저지 그리고 미국 수출입 물류비 절감 및 글로벌 해양 영향력 강화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³⁾미 해군은 대서양과 태평양 간 함대 이동 거리를 파나마 운하를 통해 약 8,000마일(약 12,875 km) 단축할 수 있습니다.

       

       

      즉, 미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 역사적 명분 확보부터 시작하여 경제적 계산까지 다방면으로 고려한 끝에 그린란드, 멕시코만, 파나마 운하에 대한 행동을 취했음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3. 시사점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에서 다루었듯이 미국은 최근 WHO탈퇴를 결정했으며, 미국 국제개발처(USAID) 해체 등을 추진하면서 미국은 실리적인 측면에서 자국에 이득이 되지 않는 국제활동을 전면 중단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내외적인 행보는 미국의 협상력 강화를 위해 다자주의가 아닌 양자주의로 협상의 테이블을 좁히는 전략임과 동시에 상대국이 먼저 미국에 위축되도록 하는 측면 그리고 미국에 대한 공동 대응보다 다른 국가끼리 미국에서 유리한 협정을 이끌었다는 식의 경쟁을 유도한 측면이 강하다고 생각합니다.

       

      즉, 트럼프 대통령 개인의 스타일과 성향에 너무 몰입할 경우 미국의 대전략을 간과할 우려가 크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의 언행 뒤에 숨겨진 행간을 제대로 분석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특히, 2025년 2월 7일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미국에서 미·일 정상회담을 가졌는데, 일부에서는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아베 총리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에게 엄청난 아부를 보였다면서 조롱하는데 집중한 내용을 접했습니다.

       

      2025년 2월 7일 미·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 총리
      2025년 2월 7일 미국에서 이루어진 미·일 정상회담(사진 출처: 백악관 공식 X)

       

       

       

      하지만 그 이면에는 미·일 양국 정상

       

      ① 대만 해협 및 남중국해 문제 공동 대응 → 중국 공동 견제

      ② 반도체 및 AI 등 첨단 산업 및 에너지·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 중국 및 러시아 공동 견제

      ③ 북한의 사이버 공격 공동 대응 및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 지원

      ④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정책 영향 최소화 → 일본 자동차 및 전자제품의 대미 수출 보호 요청

       

      등의 내용을 공유했는데,

       

      저는 미·일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했듯이 일본이 기존 방위비 수준의 2배를 지출*하기로 합의한 내용이 앞에서 다룬 합의 내용을 고려할 때 나쁘지 않은 장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 트럼프 1기 행정부 기간(2017~2021년) 동안 일본의 방위비는 연간 약 5조 엔이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할 때 일본은 2027년까지 연간 약 10조 엔을 방위비로 지출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일본 전체 GDP 2% 수준)

       

      일본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세계에서 제일 먼저 미국과 가장 우호적인 회담을 나누면서 최우방국으로서의 위치를 세계에 보여줬으며, 반도체 및 AI 등 첨단 산업 및 에너지·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강화 등 미래를 위한 투자 및 협력 강화를 약속함으로써 미래 먹거리를 안정적으로 확보하는 계기를 가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본은 세계 2차 대전 이후 지금까지 국방 관련 '평화헌법'을 유지하면서 국제사회에서 '정상국가'의 지위를 회복하지 못했지만, 지금과 같은 국제 정세 및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미·일 안보 협력 강화를 위해 '정상국가'로 회복하기 위한 명분을 얻은 측면도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행정부 대부분의 자리가 대행으로 채워져 있는 상황에서 조만간 미국과 회담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시작부터 매우 불리한 위치에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정치적 혼란을 최대한 빨리 수습함과 동시에 미국과의 협상에서 실익을 제대로 분석하여 협상에 임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입법부 및 정치인들이 지금의 복잡한 국제정세를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고 당리당락에만 매몰되어 나라의 미래를 그릇치지 않기를 진정으로 바라며, 이만 글 줄입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행복한 주말 보내세요! 

       

       

       

      ※ 현재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임기가 이제 시작되었기 때문에 앞으로 새롭게 등장할 대외정책 및 변경될 내용들은 향후 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 참고

      1. Natural gas imports from Canada continue providing winter reliability to U.S. markets(2022.11.22.), 출처: 미국 에너지정보청,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54759

      2. Canada’s Trans Mountain Pipeline expansion reportedly 95% complete(2024.1.8.), 출처: 미국 에너지정보청, https://www.eia.gov/todayinenergy/detail.php?id=61184

      3. How Trump's proposed tariffs might affect commodities and energy(2024년 11월 28일),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markets/commodities/how-trumps-proposed-tariffs-might-affect-commodities-energy-2024-11-27

      4. Panama: From Zoned Out to Strategic Opportunity(2025.1.16.), 출처: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https://www.csis.org/analysis/panama-zoned-out-strategic-opportunity

      5. UNLEASHING ALASKA’S EXTRAORDINARY RESOURCE POTENTIAL EXECUTIVE ORDER(2025.1.20.), 출처: 백악관, https://www.whitehouse.gov/presidential-actions/2025/01/unleashing-alaskas-extraordinary-resource-potential/

      6. DECLARING A NATIONAL ENERGY EMERGENCY EXECUTIVE ORDER(2025.1.20.), 출처: 백악관, https://www.whitehouse.gov/presidential-actions/2025/01/declaring-a-national-energy-emergency/

      7. Las exportaciones de México crecen un 4,1% y alcanzan un récord de más de 617.000 millones de dólares en 2024(2025.1.28.), 출처: EL PAÍS, https://elpais.com/mexico/economia/2025-01-27/las-exportaciones-de-mexico-crecen-un-41-y-alcanzan-un-record-de-mas-de-617000-millones-de-dolares-en-2024.html

      8. 2024 REPORT TO CONGRESS ON CHINA'S WTO COMPLIANCE(2025년 1월), 출처: 미국 무역대표부(USTR)

      9. Adapting Trade Policy for Supply Chain Resilience: Responding to Today’s Global Economic Challenges(2025년 1월), 출처: 미국 무역대표부(USTR)

      10. Fact Sheet: President Donald J. Trump Imposes Tariffs on Imports from Canada, Mexico and China(2025.2.1.), 출처: 백악관, https://www.whitehouse.gov/fact-sheets/2025/02/fact-sheet-president-donald-j-trump-imposes-tariffs-on-imports-from-canada-mexico-and-china/

      11. How much crude oil does the US import by country?(2025년 2월 2일),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business/energy/how-much-crude-oil-does-us-import-by-country-2025-01-31

      12. Oil, gasoline futures rise after Trump slaps tariffs on Canadian crude(2025년 2월 3일), 출처: MarketWatch, https://www.marketwatch.com/story/oil-gasoline-prices-jump-after-trump-slaps-tariffs-on-canada-crude-39798cb9

      13. La “cabeza fría” de Sheinbaum y 10.000 militares frenan la primera embestida de Trump contra México(2025.2.4.), 출처: EL PAÍS, https://elpais.com/mexico/2025-02-03/la-cabeza-fria-de-sheinbaum-y-10000-militares-frenan-la-primera-embestida-de-trump-contra-mexico.htm

      14. United States-Japan Joint Leaders’ Statement(2025.2.7.), 출처: 백악관, https://www.whitehouse.gov/briefings-statements/2025/02/united-states-japan-joint-leaders-statement)

      15. China Section 301-Tariff Actions and Exclusion Process, 출처: 미국 무역대표부(USTR), https://ustr.gov/issue-areas/enforcement/section-301-investigations/tariff-actions

      16. United States-Mexico-Canada Agreement 출처: 미국 무역대표부(USTR), https://ustr.gov/trade-agreements/free-trade-agreements/united-states-mexico-canada-agreement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