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무역전쟁
-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7. 01:08
목차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통과시키면서 2월 3일부터(2월 1, 2일은 토, 일요일) 세계 경제 전반의 지표들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관세 부과에 대한 행정명령을 통과시켰습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내용(2025년 1월 31일) - 국가관세율적용 범위면제 품목추가 조치시행 일정캐나다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에너지 제품(석유·천연가스)에 10% 관세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품목없음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중국10%특정 수입 제품 (S..
(20)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관세전쟁, 블러핑인가 전략적 계산인가?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2. 19. 23:43목차최근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이 본격적으로 대통령 업무를 시작할 경우 대외무역에서 무차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24년 11월 25일, 2025년 1월 20일 취임 즉시 NAFTA로 묶인 캐나다와 멕시코에도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엄포를 놓았습니다. 그런데 보통 관세를 부과할 경우 상대국의 보복관세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양국 모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이번에 트럼프 대통령이 펼치려는 공격적인 관세부과 정책은 무역수지 개선보다 관세수입 확대 측면이 강합니다. 즉, 트럼프 2기에서 시행할 법인세 및 소득세 인하에 대한 세수 부족분을 관세수입으로 충당할 목적이 강하며,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최대 60%)를 부과할 것이라는 선언이 블러핑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