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일기) 블로그 1일: 블로그 시작 후 첫날의 경험 공유블로그 운영 일기 2023. 6. 24. 17:11반응형
목차
'부업' 및 '파이프 라인 구축' 등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블로그 운영과 구글 애드센스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Just Do It'이란 광고문구의 정신을 발휘하여 2023년 6월 18일 티스토리에 처음으로 블로그를 개설했습니다.
아직까지 검색엔진최적화(Search Engine Optimization, SEO), 구글, 네이버, 빙 등 대형 포털에 URL을 등록하기, 키워드 선택 등등 모르는 게 넘쳐나지만 그래도 시작을 하기로 마음먹었으니 최선을 다해보려고 합니다.
사실 이 글은 6월 24일에 작성되는 글이지만 최대한 기억을 더듬어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1. 포스팅하기
블로그를 운영하기에 앞서 '정보성'과 '이슈성'에 대해 귀에 딱지가 쌓이도록 그 중요성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슈성은 제가 생각해도 이미 영향력과 헤게모니가 있는 블로거들이 선점하고 있다는 것을 여러 블로그 및 유튜브 영상 등을 둘러보며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제 짧은 생각으로는 정보성 글을 작성해야 장기간 블로그 운영이 가능하지 이슈성 글을 계속 다룰 경우 제가 먼저 지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첫날은 제가 관심 있고 관련 내용을 잘 안다고 생각한 경제학을 활용해서 나름 정보성 글을 써보기로 했습니다.
다음과 같이
(1) 경제학으로 본 소금값 폭등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1) 경제학으로 본 소금값 폭등과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결정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지금까지 원전에 따른 피해나 후폭풍 등에 대해 관심은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차 제 머릿속에 사라져 가고 있었습니다...(이러한 상황이 너무 익숙해진 결과겠죠?...
lovewany7.tistory.com
(2) 경제학으로 본 만약 내가 강릉 카페거리에 카페를 오픈한다면?
날씨가 점점 무더워지는 것이 이제 여름이 다가오고 있음이 몸으로 실감되고 있습니다... 이제 곧 에어컨을 가동해야 하는데 에어컨 청소는 미리 하셨는지요? 오늘은 여름휴가로 많은 분들이 방
lovewany7.tistory.com
(3) 경제학으로 본 "왜 동남아시아 물가는 싸게 느껴질까요?"
(3) 경제학으로 본 "왜 동남아시아 물가는 싸게 느껴질까요?"
코로나가 진정되면서 올해부터 여름휴가를 해외에서 보내실 분들 많으시죠? 저도 이번 여름은 기회가 되면 꼭 동남아시아 국가 중 한 곳을 가고 싶습니다! 제발~ 1. 동남아시아 여행 선호 이유
lovewany7.tistory.com
등 총 3개의 글을 포스팅했습니다.
2. 블로그 분석
제가 쓴 3개의 글을 보시면 알겠지만, 키워드 순위와 관계없이 2023년 6월 18일의 이슈 및 평소 제가 생각하는 내용에 대해포스팅했는데요.
검색 유입이 전혀 없는 것이 아쉬웠습니다... 당연히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키워드 및 주제가 아니다 보니 검색량은 아예 없었고, 카카오톡의 경우 제 친구 1명에게 테스트용으로 보냄에 따라 카운팅 된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리고 직접 유입수의 경우 그 친구가 카톡의 메시지를 통해 제 블로그로 와서 제가 올린 글을 11번 봤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3. 결론
즉, 오늘 포스팅한 3개의 글에서 순수한 외부 유입은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오늘의 이슈'나 '사람들이 많이 찾을 정보성 글'을 포스팅하지 않으면 제 블로그로의 유입량이 크게 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첫 술에 배부룰 순 없겠지만, 경험치를 쌓아서 빨리 레벨업 할 수 있어야 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반응형'블로그 운영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로그 일기) 블로그 5일: 실생활에서 쉽게 궁금증을 가질 수 있는 '건강' 주제의 중요성 (1) 2023.06.27 (블로그 일기) 블로그 4일: 사람들의 관심을 끌만한 정보성 글 작성 필요 (0) 2023.06.27 (블로그 일기) 블로그 3일: 정보성 글 작성의 효과와 유입 경로 분석 (1) 2023.06.26 (블로그 일기) 블로그 2일: 구글 애드센스 신청 후 승인 거부와 정보성 글 작성의 중요성 (0)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