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6) 경제학으로 본 AI 경쟁: 미국, 중국, 일본과 한국의 현실
    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4. 21:59
    반응형

    목차

      오늘 우연히 '일본, AI로 디지털 패권 노린다… 정치 불안 한국은 ‘패싱’ 우려'이란 기사를 읽게 되었습니다.

       

      제가 AI 및 반도체 전문가는 아니라서 정확한 내용은 잘 모르지만, 그래도 각국 정부와 기업의 AI 관련 투자 규모를 파악하면 직관적으로 국가 간 AI 경쟁력을 비교할 수 있을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미국, 일본, 중국, 한국 4국의 AI 관련 투자내역 및 주요 내용을 정리해 보기로 했습니다

       

      미국 주도 '칩 동맹'
      미국 주도의 칩 4 동맹과 중국 사이의 기로에 선 우리나라 (사진출처: 동아일보)

       

       

      1. 미국의 주요 AI 투자 현황

       

      미국 정부 및 기업의 AI 관련 주요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미국 주요 AI 투자 내용 정리-

      분류 주요 내용 및 계획 발표 시기 투자 금액
      정부 미국 AI 전략 발표: 2016년 미국 정부는 '국가 인공지능 연구개발 전략'을 발표하여 AI 기술 개발을 통한 경제 및 사회적 발전을 목표로 설정
      → 주요 중점 과제는 연구개발(R&D) 투자와 공공 데이터 개방 확대
      2016년 10월 -
      기업
      Waymo의 분사 및 투자 확대: Alphabet(구글)의 자율주행 부문이 2016년 Waymo로 독립하여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주력
      →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약 56억 달러의 외부 자금을 유치하여 로보택시 서비스와 자율주행 기술 개발 가속화
      2016년 56억 달러
      정부
      CHIPS 법안 통과: 2022년 8월, 미국 의회는 527억 달러 규모의 '반도체 및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을 통과시켜 반도체 산업 부흥과 AI 기술 융합을 통한 산업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설정 2022년 8월 527억 달러
      기업 Microsoft의 OpenAI 투자: Microsoft는 OpenAI와 협력해 ChatGPT와 같은 AI 기술을 Azure 클라우드 서비스에 통합하기 위해 100억 달러를 투자 2023년 1월 100억 달러
      기업 Google의 Anthropic 투자: Anthropic의 AI 연구를 지원하고, 클라우드와 AI 도구를 통합하기 위해 3억 달러 투자(추정) 2023년 2월 3억 달러 이상
      (추정)
      정부 미국 정부의  AI 애플리케이션 개발: 2025 예산에 포함된 투자 계획으로 연방 정부의 AI 연구, 개발, 조달 및 통합에 총 30억 달러를 배정하였고, 국방, 에너지 등 정부 부문에서의 AI 활용 촉진 목표 2024년 3월 30억 달러
      정부 미국 상원 AI 안전장치 마련 예산 편성: AI의 윤리적 사용과 사회적 영향을 고려해 3년간 320억 달러의 예산을 편성하였으며, 주로 AI 규제 및 안전성 테스트 연구에 사용될 예정 2024년 5월 320억 달러
      기업 Microsoft와 BlackRock의 글로벌 AI 인프라 펀드 조성: 데이터 센터와 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을 목적으로 3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펀드를 공동 설립(클린 에너지와 지속 가능성 프로젝트 포함) 2024년 9월 300억 달러
      기업 Nvidia의 AI 스타트업 투자: AI 스타트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AI 기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2024년에 10억 달러를 투자(이는 2023년 투자액(8.72억 달러) 대비 14.7% 증가한 수치) 2024년 10월 10억 달러
      정부 미국 상무부 반도체 소재 개발 추진: AI 기술을 활용해 지속 가능한 반도체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프로젝트에 1억 달러 지원(이는 미국 반도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CHIPS 법안의 연장선) 2024년 10월 1억 달러
      기업 Salesforce의 AI 스타트업 지원 펀드: 생성형 AI 스타트업을 육성하기 위해 10억 달러의 펀드 확대(B2B(기업 간 거래) 솔루션에 특화된 AI 기술 상용화 촉진 목표) 2024년 12월 10억 달러
      기업 Microsoft의 데이터 센터 투자: 2025년 동안 800억 달러를 AI 데이터 센터 확장 및 인프라 개발에 투자(이 중 50% 이상이 미국 내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 2025년 1월 800억 달러

      ※ 출처: The Verge, Financial Times, NextGov, AP News, Business Insider, Salesforce Press, Reuters 등 참고

       

       

      위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미국의 경우 미국 정부와 기업에서 다양한 분야에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투자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미국의 경우 2023년 ~ 2025년도 사이 발표된 주요 AI 투자금액만 약 1,574억 달러(1달러 당 1,472원, 대략 232조 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주요 AI 기업들의 주가를 고려할 때, 미국의 AI 기업 및 산업에 대한 글로벌 수요 및 기대가 매우 높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2. 중국의 주요 AI 투자 현황

       

      중국 정부 및 기업의 AI 관련 주요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중국 주요 AI 투자 내용 정리 -

      분류 주요 내용 및 계획 발표 시기 투자 금액
      정부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 발표: 2030년까지 세계 AI 선도국가로 도약을 목표로 한 중국 국무원의 전략 계획 2017년 7월 -
      기업 바이두의 '딥 스피치 2' 개발: 음성 인식 기술인 '딥 스피치 2'를 개발하여 AI 분야에서의 기술력 강화 2018년 -
      산업 중국 AI 산업 규모 (2020년): 약 1,500억 위안 규모로 집계 2020년 1,500억 위안
      정부 '신세대 인공지능 윤리 규범' 발표: 인공지능의 윤리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AI 개발 및 활용의 책임성 강화 2021년 9월 -
      산업 상하이 AI 산업 규모 (2021년): 상하이의 AI 산업 규모는 3,057억 위안에 달하며, 두뇌 연구, 컴퓨터 비전 기술 등에서 선도적인 입지 구축 2021년 3,057억 위안
      정부 AI 핵심 산업 규모 4,000억 위안 돌파 발표: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AI 핵심 산업 규모가 4,000억 위안을 돌파했다고 발표 2022년 8월 4,000억 위안
      기업 알리바바와 텐센트의 AI 스타트업 투자: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AI 스타트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시작하며 AI 생태계 확장 추진 2023년 약 30억 달러(추정)
      정부 생성형 AI 기업 활용률 85% 전망 발표: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2035년까지 생성형 AI 기업 활용률이 85%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 2023년 11월 -
      기업 앤트 그룹의 기술 연구개발 투자: 앤트 그룹이 기술 연구개발에 211.9억 위안을 투자하며, AI 기술에 집중 2024년 6월 211.9억 위안
      산업 AI 산업 표준화 지침 발표: 공업정보화부 등 4개 부처가 AI 산업 표준화를 위한 지침을 공동 발표 2024년 7월 -
      산업 상하이 AI 산업 전망 (2025년): 2025년까지 상하이 AI 산업은 규모 이상 기업이 4,000억 위안을 달성할 전망 2024년 7월 4,000억 위안
      정부 베이징시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 산업 응용 사례 발표: 베이징시는 도시 거버넌스, 의료 건강 등 분야에서 초거대 AI 모델의 산업 응용 사례 10가지를 발표 2024년 7월 -
      기업 화웨이의 새로운 AI 칩 'Ascend 910C' 출시 계획 발표: 화웨이가 엔비디아에 도전하는 새로운 AI 칩 'Ascend 910C'의 출시 계획을 발표 2024년 8월 약 20억 달러
      정부 2024~2030년간 AI 기술 개발에 10조 위안 투자 전망: 중국국제금융공사(CICC)는 연간 약 1.67조 위안을 AI 기술 개발에 투자할 계획을 발표 2024년 9월 10조 위안
      기업 SMIC의 주가 상승: AI 열풍과 칩 국산화 가속화로 인해 SMIC의 주가는 2024년 1월부터 12월까지 약 25% 상승, 연말 기준 30.8 홍콩달러 기록 2024년 12월 -
      기업 바이두의 AI 모델 개발 및 로보택시 서비스 확장: 바이두가 AI 모델 개발과 함께 로보택시 서비스의 확장을 추진 2024년 12월 약 10억 달러
      정부 베이징시의 자율주행 차량 도입 촉진 규제 발표: 베이징시가 자율주행 차량 도입을 촉진하기 위한 새로운 규제를 발표 2024년 12월 -
      산업 중국 AI 산업 규모 전망 (2025년): 약 4,500억 위안으로 성장 전망, 연평균 성장률 26.8% 2025년 예상 4,500억 위안

      출처: 중국 국무원, 과학기술부, 공업정보화부, 중국국제금융공사(CICC), 베이징 시, 상하이 정부, 바이두 연구소, 인민망, 신화망, Financial Times, Reuters, WSJ, AI 타임즈, KITA 등 참고

       

       

      중국의 경우 정보 공개의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투자 금액에 대한 내역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2023년 ~ 2025년도 사이 AI 투자금액은 약 5,782억 달러(1달러 당 7.36위안, 약 851조 원)로 압도적임을 알 수 있습니다.

       

       

      3. 일본의 주요 AI 투자 현황

       

      일본 정부 및 기업의 AI 관련 주요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일본 주요 AI 투자 내용 정리 -

      분류 기관 또는 기업 주요 내용 및 계획 발표 시기 투자 금액
      미국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아시아 데이터 센터 확장 및 AI 수요 대응 2021년 시작, 진행 중 -
      대만 기업 TSMC 일본 구마모토현 제1 반도체 공장 설립 2021년 12월 8,600억 엔 
      정부 내각부 AI 전략 2022: 디지털 전환(DX) 및 책임 있는 AI에 초점 2022년 -
      정부 일본 정부 AI 전략 2022 발표: 인공지능 연구 개발 및 활용 촉진을 위한 로드맵 수립 2022년 -
      기타 기업 소프트뱅크 & 엔비디아 NVIDIA 칩을 활용한 AI 슈퍼컴퓨터 개발 2023년 착수, 진행 중 -
      정부 문부과학성 2024 예산: 과학기술 예산 627억 엔 증액 2024년 -
      정부 일본 정부 2024년도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약 653.5억 엔 배정 2024년 653.5억 엔
      미국 기업 아마존 웹 서비스(AWS) 일본 내 클라우드 서비스 확장을 위한 투자 계획 발표 2024년 1월 2조 3,000억 엔 
      기업 히타치 & 마이크로소프트 AI 및 클라우드 기술 협력을 위한 파트너십 발표 2024년 4월 약 19억 2천만 달러(추정)
      미국 기업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일본 내 클라우드 및 AI 인프라 강화를 위한 투자 발표 2024년 4월 29억 달러
      미국 기업 오라클(Oracle) 일본 데이터센터 확충을 위한 장기 투자 계획 발표 2024년 4월 80억 달러
      대만 기업 TSMC 일본 구마모토현 제2반도체 공장 설립 계획 2024년 6월 2조 2,000억 엔 
      기업 사카나AI 엔비디아 등으로부터 1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 2024년 9월 1억 달러
      기업 도요타 & NTT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AI 플랫폼 개발에 공동 투자 2024년 10월 5,000억 엔
      정부 일본 정부 2025 회계연도에 Rapidus에 2,000억 엔 투자 계획 2024년 11월 2,000억 엔 
      정부 일본 정부 미국 Tenstorrent와 협력하여 일본인 칩 디자이너 양성 계획 2024년 11월 -
      정부 일본 정부 2030년까지 AI 및 반도체 산업 활성화를 위한 10조 엔 공적 자금 투입 계획(연간 약 1.67조 엔 투입 예정) 2024년 11월 10조 엔 

      출처: 일본 내각부, 문화과학성, Reuters, WSJ, 요미우리 신문, AI타임스 등 참고

       

       

      일본의 경우 미국 주도의 '칩 4 동맹'에 적극적임과 동시에 일본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투자를 활성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일본의 2023년 ~ 2025년도 사이 AI 투자금액은 약 570억 달러(1달러 당 157.3엔, 약 84조 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4. 한국의 주요 AI 투자 현황

       

      우리나라 정부 및 기업의 AI 관련 주요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우리나라 주요 AI 투자 내용 정리 -

       

      분류 기관 또는 기업 주요 내용 및 계획 발표 시기 투자 금액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산 AI 반도체 기술 고도화 로드맵 발표 2022년 12월 총 8,262억 원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5년간 투자 계획(연간 약 2천 억원씩 투자) 2023년 1조 원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대학원 지원 사업 확대 및 추가 설립 2023년 500억 원 이상
      정부 산업통상자원부 AI 기반 제조업 혁신 지원을 위한 기술 개발 프로젝트 2024년 약 3,000억 원
      정부 정부 AI 및 반도체 분야에 2027년까지 투자 계획 발표(연간 약 2.35조 원씩 투자) 2024년 4월 9조 4,000억 원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혁신 생태계 조기 구축 방안 발표 2024년 11월 총 4조 원
      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AI 스타트업 육성 펀드 조성 2023년 약 3,000억 원
      정부 국방부 AI 기반 국방 시스템 및 자율 무기체계 투자 계획 2023년 비공개
      기업 삼성전자 AI 반도체 연구개발에 지속적인 투자 및 차세대 칩 개발 2023년 약 1조 원
      기업 LG AI 연구원 차세대 AI 모델 연구개발 및 응용 연구 2023년 약 7,000억 원
      기업 SK하이닉스 AI 및 반도체 분야에 2028년까지 투자 계획 발표 (연간 약 20.6조 원씩 투자) 2024년 6월 103조 원
      기업 네이버 AI 모델 하이퍼클로바 개발 및 데이터센터 확충 2023년 약 2,000억 원
      기업 카카오 AI 플랫폼 연구개발 투자 2023년 비공개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과학기술정보통신부, Bloomberg, Reuters, 연합뉴스 등 참고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 주도의 '칩 4 동맹'과 관련된 협업이 전무한 상태이며, 정부의 장기 계획 부족 및 기업들의 뒤늦은 출발이 눈에 뛰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2023년 ~ 2025년도 사이 AI 투자금액은 약 366억 달러(1달러 당 1,472원 , 약 54조 원)임을 알 수 있습니다.

       

       

      5. 시사점

       

      지금까지 미국, 중국, 일본, 한국 4개국의 AI 관련 투자 내용 및 금액에 대해 정리해 봤으며, 개인적으로 정리하는 것만으로도 일정 부분 의미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정리한 내용을 간략히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미국, 중국, 일본, 한국 4개국 AI 분야 주요 특징 - 

      구분 미국 중국 일본 한국
      투자 규모
      (23' ~ 25')
      약 232조 원 약 851조 원 약 84조 원 약 54조 원
      기타 주요 글로벌 AI 기업 보유, 칩 4 동맹 주도 앞도적인 투자 규모 미국, 대만 기업들과 협업,
      칩 4 동맹 적극 참여
      미국과 중국 사이
      선택의 기로

       

       

      앞서 제가 정리한 내용이 정확하다면, 우리나라는 미국 주도 '칩 4 동맹'에서 실제적인 협업이 전무한 상황이며, AI 관련 투자규모 또한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물론, 양적인 차이가 질적인 차이로 직접 연결되는 것은 아니지만, 정부 및 기업의 대응시점 또한 다른 나라에 비해 늦은 편이라 우려가 되는 상황입니다.

       

      그리고 SK하이닉스와 삼성의 경우 AI 반도체 설계가 아닌 제작을 위탁받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가가치 창출 측면에서도 매우 불리한 구조이기 때문에 AI, 빅데이터, 관련 반도체 산업 육성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선 AI 관련 해당 분야 전문가들이 정부 및 기업의 주요 부문 수장이 되어 체질 개선 및 올바른 추진 방향을 설계한 후 예산 및 투자가 제대로 투입될 수 있도록 인적 쇄신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즉,

       

      ① AI 전문가 및 인재 유치 및 육성

         ② 전문가 주도 AI 산업 청사진 설계

       ③ 관련 규제 및 제도 점검 및 수정

      ④ 정부 예산 투입 및 기업 투자 활성화

      ⑤ 미국 주도 칩 4 동맹 적극 참여 

       

       

      와 같이 체계적인 산업 육성 방안을 마련하여 AI 산업을 제대로 육성해야 할 것입니다.

       

       

       

      이상 AI 및 반도체 분야를 잘 모르는 일반인의 시선에서 관련 글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AI 분야에 전문지식이 있거나 추가 의견이 있으신 경우 언제든지 댓글을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대단히 감사드리며,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