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뇨리지효과
-
(42) 경제학으로 본 미국 달러 패권 vs 중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 전략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25. 11:32
목차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미국의 광범위한 관세전쟁 및 양자 협상(1:1 협상)을 통한 협상력 강화(높은 협박의 수위) 및 다자주의 결속력 약화가 국제 사회에서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미국의 협상 태도는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에서도 다루었듯이, 세계 공통어인 '영어'(문화적 측면),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경제적 측면) 그리고 세계 최대 군사력(군사적 측면)에 기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달러 패권(Dollarization)의 경우 최근 암호화폐와도 크게 연관이 있는데, 오늘은 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1. mBridge 프로젝트 혹시 'mBridge 프로젝트'라고 들어보셨나요? '..
(10) 경제학으로 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이슈 Chapter 3. 암호화폐의 미래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1. 29. 22:34목차 오늘은 저번 편인 (9) 경제학으로 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이슈 Chapter 2. 암호화폐의 화폐적 기능에 이어 암호화폐 관련 이슈 및 암호화폐의 미래에 대한 썰을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절대적으로 제 맘대로 해석한 글이니 관대하게 봐주십시오! ( _ _ ) ) 1. 암호화폐의 급격한 가치상승과 그 배경 ① 다크웹 실크로드(Silk Road)와 비트코인혹시 '실크로드'라는 다크웹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2011년부터 2013년 사이 마약, 위조신분증, 해킹 소프트웨어 등이 거래되던 사이트였습니다... 이 사이트에서 지불수단으로 사용되던 것이 비트코인이었고, 2011년 초기 비트코인의 가격은 약 1달러 이하였으나 2013년에는 200달러를 초과하였습니다. (제 기억이 맞다면 2010년..
(9) 경제학으로 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이슈 Chapter 2. 암호화폐의 화폐적 기능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1. 28. 23:02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8) 경제학으로 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이슈 Chapter 1. 화폐의 기능에 이어 '암호화폐의 화폐적 기능' 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화폐의 기능적 측면에서 바라본 암호화폐 ① 교환의 매개수단 (Medium of Exchange) 측면암호화폐는 '가치 변동성'과 '대중적 활용성 부족'으로 인해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활용되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포인트처럼 암호화폐가 상품 및 서비스 구매에 사용될 때 그 가치가 불안정하다면 소비자는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것이고 판매자는 관리의 어려움을 겪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메뉴비용*을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메뉴비용: 제품 및 서비스의 판매가격을 조정할 때 드는 비용 물론, '..
(8) 경제학으로 본 비트코인 및 암호화폐 이슈 Chapter 1. 화폐의 기능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4. 11. 27. 15:46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는 '비트코인 & 기타 암호화폐 ' 그리고 이와 관련된 이슈에 대해 시리즈로 다루고자 합니다. "세계 주요 당국은 글로벌 금융위기(2008), 코로나19(2019) 등을 거치며 침체된 경제에 대응하기 위해 적극적인 통화정책을 펼쳐왔습니다. 국채발행을 늘려 풍부한 유동성을 공급하여 소비, 투자를 활성화하는데 주저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따라 최근 인플레이션이 각국의 골치거리가 되고 있습니다......." " 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 중 하나는 경제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 때문입니다. 많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보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비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