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40)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2. EU의 대응 방안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7. 02:02
목차오늘은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에 빠진 원인에 이어 EU가 경제성장 둔화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안들을 제시하였는지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참고로 본문 내용이 매우(?) 길기 때문에 제 개인적인 의견 및 생각만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2. 시사점으로 바로 가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산업별 대응 방안 (1) 에너지 부문 1) EU의 상황 EU의 경제성장 둔화 원인 중 하나는 EU의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탄소배출권 비용,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EU의 협상력 부족 등이 원인이었습니다. 아래 두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왼쪽 그래프는 주요 산업 부문에서 총생산비용 중 에너지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 (연료 비용 / 총 생산 비용) X 100)을..
-
(39) 경제학으로 본 링겔만 효과에 빠진 EU, Part 1. 경제성장 둔화의 원인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2. 21:12
목차최근 '부자 미국 가난한 유럽'이라는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책의 주 내용은 미국의 경우 높은 생산성과 노동시장 유연성을 바탕으로 더 부유해진 반면에 유럽은 높은 복지와 노동시간 감소로 인해 경제적 정체를 겪고 있다는 점 및 미국의 시장 경제 성장모델과 유럽의 복지 중심 성장모델 간 경쟁에서 미국이 경제적으로 유럽을 상대로 승리하였다는 내용이었습니다. 해당 책을 읽으면서 항상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북한 등 주변국에 대한 내용만 접하다가 멀리 떨어진 유럽에 대한 내용을 접하게 되어서 흥미로웠습니다. 그리고 마침 2024년 9월 EU(Europe Union, 유럽 연합) 관계자들이 작성한 'The future of European competitiveness'라는 보고서를 ..
-
(38) 경제학으로 본 이수지 유튜브 'Jamie맘’의 소비 트렌드와 네트워크 효과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10. 16:13
목차 오늘 우연히 개그우먼 이수지 님의 유튜브 채널의 영상 중 하나인 '[휴먼다큐 자식이 좋다] EP.01 '엄마라는 이름으로'Jamie맘 이소담 씨의 별난 하루'을 보게 되었습니다. 영상 속 이수지 님은 속칭 '강남 교복' 및 '대치맘 패션'의 필수 아이템인 '몽클레르 패딩'과 '샤넬 가방'을 착용하면서 대치동 엄마들의 자식 사랑(?)을 개그로 승화시키셨는데 정말 재미있었고, 해당 영상을 한번 보시길 강력 추천드립니다! 다시 돌아와서 오늘 저는 영상 속 Jamie맘 이소담씨의 소비와 관련된 간단한(?) 경제학 소비이론을 다루고자 합니다. 1. 네트워크 효과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란 개인이 소비를 통해 얻는 만족감 또는 효용(Utility)의 크기가 다른 사람의 소비에 영향을 받..
-
(37)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8. 23:24
목차오늘은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에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부과 행정명령을 서명한 이후의 진행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관세부과 내용 - 국가 기존 관세율* 트럼프 2기 추가 관세 총 관세율 적용 품목 면제 품목 추가 조치 시행 일정 캐나다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석유·천연가스에 10%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
-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7. 01:08
목차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통과시키면서 2월 3일부터(2월 1, 2일은 토, 일요일) 세계 경제 전반의 지표들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관세 부과에 대한 행정명령을 통과시켰습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내용(2025년 1월 31일) - 국가관세율적용 범위면제 품목추가 조치시행 일정캐나다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에너지 제품(석유·천연가스)에 10% 관세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품목없음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중국10%특정 수입 제품 (S..
-
(35)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vs 연준의 독립성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26. 19:27
목차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적인 행보를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여러 의견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의 메시지는 아주 단순하고 명확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미국우선주의, 맞대응 전략(tit for tat), 타협과 양보를 우선하지 않는 태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일관되게 유지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일관성은 트럼프 및 미국의 입장에서 다른 나라와 협상 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상대방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입장을 쉽게 번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한 후 전략적 행위를 펼치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게 됩니다. 물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당연히 미국의 강력한 국력(세계 공통어인 영어에서 기반하는 문화 파급력, 기축통화인 달..
-
(34) 경제학으로 본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환율 리스크 관리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24. 08:34
목차오늘 우연히 다음과 같은 환율의 변동성과 엔터의 연관성에 대해 다른 기사들을 읽게 되었습니다. → '내란' 충격에 환율 고공행진…영화 수입사도 '직격타'[파고들기] → [고환율시대 엔터] ① 비용상승에 퀄리티 저하 우려…K팝 기획사간 온도차→ [고환율시대 엔터] ② 방송계, ‘정글밥2’ 등 해외 촬영 예능 피해 막심→ [고환율시대 엔터] ③ 韓영화 해외 촬영 차질 없나…외화 수입사 ‘울상’ 콘텐츠를 소비만 할 줄 알았지 콘텐츠 제작, 수출입과 관련하여 환율이 강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지 못했는데, 이번에 해당 기사들을 읽으면서 환율이 문화산업에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환율의 변동성과 이에 따른 손실을 막기 위한 헷징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1. 고환율..
-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22. 15:36
목차2025년 1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 명령 중 하나로 미국의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승인했습니다.(출처 → BBC 'Trump orders US to leave World Health Organization')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7월 미국의 WHO 탈퇴를 공식 선언했었지만, 같은 해 있었던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에 패하면서 해당 선언이 무산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공식 임기 시작 후 9시간 만에 미국의 WHO 탈퇴를 승인한 것을 미루어 볼 때 트럼프 대통령의 WHO 탈퇴에 대한 신호는 대내외적으로 명확히 전달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왜 미국의 WHO 탈퇴를 원할까요? WHO 탈퇴를 통해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이 얻는 이점이 무엇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