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45) 경제학으로 본 우크라이나의 전략적 가치와 중요성
    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3. 5. 11:32
    반응형

    목차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외교 정책 및 실행력이 매우 변화무쌍하고 파격적입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① 2025년 2월 18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미국과 러시아 간 고위급 회담이 열렸고, 우크라이나를 제외한 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 및 미국-러시아 외교 관계 정상화 등을 논의했으며, 

       

      ② 2025년 2월 24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에서 다음과 같은 투표 결과가 나왔으며,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및 유엔 총회 투표 결과 정리 -

       

       

      투표 기구 투표 번호 및 제목 투표 결과 기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UNSC) - S/RES/2774(2025)
      - On imploring a swift end to the conflict between Ukraine and the Russian Federation 
      찬성 10, 반대 0, 기권 5 → 가결
      - 찬성(10): 미국, 중국, 러시아, 대한민국, 일본, 스위스, 가이아나, 파라과이, 시에라리온, 알제리
      - 기권(5): 영국, 프랑스, 덴마크, 그리스, 슬로베니아
      러시아 침공 언급 없이 전쟁 종식 촉구
      유엔 총회**
      (UNGA)
      - A/RES/ES-11/8
      - The Path to Peace
      찬성 93, 반대 8, 기권 73, 불참 19 → 가결
      - 반대(8): 러시아, 벨라루스, 북한 등
      - 기권(73): 미국,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원론적인 러시아 규탄 및 철군 요구
      유엔 총회
      (UNGA)
      A/RES/ES-11/7
      Advancing a Comprehensive, Just and Lasting Peace in Ukraine
      찬성 93, 반대 18, 기권 65, 불참 17 → 가결
      - 반대(18): 미국, 러시아, 벨라루스, 북한 등
      - 기권(65): 중국,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러시아 책임 강조, 전쟁 배상 및 구체적인 평화 과정 포함

      *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안 통과 기준의 경우 총 15개국 중 찬성 9표 이상 필요, 거부권(Veto)이 없을 경우에만 통과 가능(거부권의 경우 상임이사국인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만 행사 가능), https://digitallibrary.un.org/record/4077111?ln=en

      ** 유엔 총회 투표 결과의 경우 https://digitallibrary.un.org/record/4076673?ln=en, https://digitallibrary.un.org/record/4076672?ln=en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③ 2025년 2월 28일 금요일 미국에서 열린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 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종결 및 우크라이나 내 핵심 전략 광물개발 협상이 결렬되었고, 이에 대해 유럽은 우려를 표한 반면에 러시아는 미국의 전쟁 종결 노력에 감사함을 표현함과 동시에 유럽과 우크라이나를 비난하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불과 일주일 만에 우크라이나 관련 이슈가 국제사회를 뒤덮는 모습을 보면서 왜 미국, EU, 러시아 등 세계 강대국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해 강한 관심과 우려를 표하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1. 우크라이나 역사 

       

      우크라이나는 다음의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1991년 소련 붕괴 후 독립할 때까지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습니다.

       

      - 우크라이나 공화국 주요 연혁 - 

      시기 주요 사건  내용
      9~13세기 키예프 루스(Kievan Rus) 건국 - 882년, 키예프 공국의 Oleg 대공이 건국
      - 동슬라브 민족의 기원, 러시아·우크라이나·벨라루스의 공통 조상 국가
      - 988년 블라디미르 1세가 정교회(동방정교) 개종
      1240년 몽골 제국 침공 및 키예프 루스 붕괴 - 몽골(킵차크 칸국)의 침략으로 키예프 루스 멸망
      - 이후 우크라이나는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의 일부가 됨
      1648~1654년 헤트만국 건국

      - 보흐단 흐멜니츠키가 폴란드에 대항해 코사크(자율적 군사 공동체) 반란 주도 및 헤트만국 건국
      - 1654년 페레야슬라프 조약으로 러시아 차르국과 동맹 (사실상 러시아에 종속됨)
      18~19세기 러시아·오스트리아 지배 - 1772~1795년 폴란드 분할로 서우크라이나(갈리치아)는 오스트리아 지배, 동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제국에 완전히 합병됨
      1917~1922년 우크라이나 인민공화국(UNR) 독립 시도 - 1917년 러시아 혁명 후 독립 선언
      - 1918~1920년 소비에트-폴란드 전쟁으로 다시 점령
      - 1922년 소비에트 연방(USSR)에 강제 편입
      1939~1945년 2차 세계대전  독립 시도 - 1941년 나치 독일 점령 후 ‘우크라이나국’ 수립 (실질적으로 괴뢰 정권)
      - 1944년 소련이 재점령
      1991년 소련 붕괴 후 우크라이나 공화국으로 독립 - 1991년 8월 24일 독립 선언
      - 12월 국민투표에서 90% 이상 독립 찬성
      2014년 러시아 크림반도 강제 병합 - 러시아군 개입 후 크림 반도 합병 강행
      - 동부 돈바스 지역에서 친러 분리주의 세력과 충돌
      2022년~현재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 2022년 2월 24일 러시아 침공 후 현재까지 진행 중

       

       

      그렇기 때문에 아래 지도처럼, 하르키우, 드니프로, 자포리자, 도네츠크, 오데사, 크림반도의 경우 과거부터 친러시아 성향이 강했던 역사가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 내 친러 성향이 강했던 지역(좌측 지도)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지역 점령 현황(우측 지도) -

      우크라이나 내 친러 성향이 강한 지역을 표시한 지도2025년 3월 1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현황(출처: 미국전쟁연구소, ISW)
      (좌측 지도) 우크라이나 내 친러 성향이 강했던 지역 표시 & (우측 지도) 2025년 3월 1일 기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점령지 현황(출처: 미국전쟁연구소(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https://understandingwar.org/backgrounder/russian-offensive-campaign-assessment-march-1-2025)

       

       

      하지만 전쟁 이후 현재 다음과 같이 상황이 전개되고 있습니다.

       

       

      -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지역 점령 상황 -

      우크라이나 지역 점령 상태 기타
      크림반도 (Crimea) 완전 점령 2014년 러시아에 합병되어 현재 러시아가 행정 및 군사적 통제 유지
      루한스크주 (Luhansk Oblast) 거의 전체 점령 2014년부터 친러 분리주의 세력이 통제해왔으며, 2022년 이후 러시아가 완전히 장악
      도네츠크주 (Donetsk Oblast) 부분 점령 도네츠크 시 포함 동부 지역 대부분 러시아 통제 중이나 서부 일부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이 저항 중
      자포리자주 (Zaporizhzhia Oblast) 부분 점령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함 일부 남부 지역을 러시아가 점령했지만, 자포리자 시는 우크라이나 통제
      헤르손주 (Kherson Oblast) 부분 점령 드네프르강 동쪽 일부 지역은 러시아가 점령했지만, 헤르손 시는 우크라이나군이 2022년 말 탈환하였음
      하르키우주 (Kharkiv Oblast) 일부 국경 지역 점령 러시아가 국경 지역 일부 통제하고 있으나, 하르키우 시는 우크라이나 통제중
      아브디이우카 (Avdiivka, 도네츠크주 내 주요 도시) 최근 러시아 점령 2024년 말~2025년 초 러시아군이 점령하였으며, 우크라이나군은 전선 재조정 중

      ※ 참고: Russian Offensive Campaign Assessment, March 1, 2025, 출처: 미국전쟁연구소(ISW, 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여기서 알 수 있는 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및 크림반도를 병합함으로써 흑해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이는 러시아가 지중해에 위치한 남부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러시아의 크림반도 및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점령의 지정학적 의미와 중요성을 나타낸 지도
      러시아의 크림반도 확보는 역사적으로 염원하던 부동항 확보 및 흑해 및 지중해 진출을 통한 남부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확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출처: 자체 제작)

       

       

      2. 유럽의 곡창지대인 우크라이나

       

      우크라이나는 세계적인 농업 강국으로 '유럽의 빵 바구니(Breadbasket of Europe)'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크라이나 내 '체르노젬(чернозём, Chernozem)'이라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검은 빛깔의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을 바탕으로 우수한 농업 생산성 및 생산량을 확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우크라이나 주요 농산물 수출과 관련된 차트입니다.

       

       

      - 우크라이나 주요 농산물 생산량 및 수출량(2021 ~ 2023) -

        연도 2021 2022 2023
      품목 구분 생산량(t) 수출량(t) 생산량(t) 수출량(t) 생산량(t) 수출량(t)
      옥수수
      (Maize or
      Corn)
      우크라이나 42,109,850 24,539,480 26,186,930 25,176,653 31,030,440 26,367,041
      세계 1,204,689,470 196,870,460 1,162,118,008 209,499,805 1,241,557,811 197,868,360
      우크라이나
      비중(%)
      3.50% 12.46% 2.25% 12.02% 2.50% 13.33%
      유채 또는
      콜자 씨앗
      (Rape or

      colza seed)
      우크라이나 2,938,940 2,328,268 3,317,980 3,136,246 4,183,650 3,027,035
      세계 71,882,845 23,068,926 86,892,784 22,591,711 91,876,424 26,481,881
      우크라이나
      비중(%)
      4.09% 10.09% 3.82% 13.88% 4.55% 11.43%

      Soya beans
      우크라이나 3,493,200 1,144,696 3,443,800 2,000,875 4,742,550 3,489,892
      세계 372,706,080 161,153,253 353,696,966 157,632,283 371,173,609 173,456,225
      우크라이나
      비중(%)
      0.94% 0.71% 0.97% 1.27% 1.28% 2.01%
      해바라기씨 오일
      Sunflower-

      seed oil,
      crude
      우크라이나 4,917,600 5,161,205 4,578,700 4,309,945 - 5,740,754
      세계 18,430,389 12,798,335 20,264,796 13,710,377 - 16,697,149
      우크라이나
      비중(%)
      26.68% 40.33% 22.59% 31.44% - 34.38%

      Wheat
      우크라이나 32,183,300 19,394,935 20,729,240 11,223,216 21,625,170 16,151,705
      세계 774,642,500 201,083,730 811,384,426 190,977,265 798,975,306 199,113,802
      우크라이나
      비중(%)
      4.15% 9.65% 2.55% 5.88% 2.71% 8.11%

      ※ 참고: 유엔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통계 추출, https://www.fao.org/faostat/en/#data/TCL

       

       

      그리고 우크라이나 내 해당 곡물들의 분포 지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크라이나 내 주요 농산물 생산 분포를 나타낸 지도 -

       

      우크라이나 옥수수 생산지역을 표시한 지도(출처:미국 농무부, USDA)우크라이나 유채씨 생산지역을 표시한 지도(출처:미국 농무부, USDA)
      우크라이나 콩 생산지역을 표시한 지도(출처:미국 농무부, USDA)우크라이나 해바라기씨 생산지역을 표시한 지도(출처:미국 농무부, USDA)우크라이나 밀 생산지역을 표시한 지도(출처:미국 농무부, USDA)
      해당 맵의 경우 2016 ~ 2020년 평균 생산량을 나타낸 지도임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출처: 미국 농무부(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우크라이나는 유채 씨앗, 콩, 해바라기씨, 밀 등의 생산에 영향이 받은 반면에 러시아는 앞으로 유채 씨앗, 콩, 해바라기씨, 밀 등의 생산 및 확보가 수월해짐과 동시에 식량 자급력이 개선되었을 것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 왜 선물시장에서 해당 곡물들의 가격이 요동쳤는지도 이해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3. 우크라이나 내 매장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

       

      우크라이나는 첨단산업과 국방 분야에서 필수적인 핵심 전략 광물들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배터리, 항공우주, 원자력 발전, 방산산업 등에 사용되는 광물이 다수 매장되어 있으며, 일부 광물들은 러시아가 점령한 지역에 집중되어 있어 현재 채굴과 개발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음은 2024년 기준 우크라이나 내 매장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을 정리한 표입니다.

       

       

      - 우크라이나 내 매장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 현황표(2024년 기준) - 

      광물 세계 매장량
      대비 우크라이나
      매장량 비율(%)
      세계 생산량
      대비 우크라이나
      생산량 비율(%)
      유럽 내 매장량
      순위
      주요 광산 위치 우크라이나 내
      추정 매장량(mt)
      참고 사항
      흑연
      (Graphite)
      6% 7% 1위 키로보흐라드,
      미콜라이우,
      리브네
      343 mt 배터리,
      전자기기,
      전극 제조
      리튬
      (Lithium)
      1% 기밀 1위 도네츠크,
      자포리자,
      키로보흐라드
      기밀 배터리 양극재,
      전기차,
      에너지 저장
      티타늄
      (Titanium)
      1% 7% 9위 지토미르,
      체르카시,
      키이우
      62 mt 항공우주,
      군수산업,
      화학산업
      우라늄
      (Uranium)
      2~4% 2% 1위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 기밀
      (전 세계 매장량의 2~4% 추정)
      핵연료,
      원자력 발전,
      방사성 동위원소
      베릴륨
      (Beryllium)
      N/A 기밀 기밀 기밀 0.0139 mt 전자기기, 합금,
      원자로 제어봉
      니켈
      (Nickel)
      기밀 기밀 기밀 키로보흐라드,
      리브네
      0.39 mt 스테인리스강,
      배터리 소재
      코발트
      (Cobalt)
      기밀 기밀 기밀 키로보흐라드,
      자포리자
      0.02 mt 배터리, 초합금,
      항공우주
      구리
      (Copper)
      기밀 기밀 기밀 볼린,
      지토미르
      0.101 mt 전선, 전자부품,
      전기차
      희토류*
      (REEs,
      Rare Earth 
      Elements)
      기밀 기밀 기밀 자포리자,
      빈니차
      기밀 첨단산업,
      전자기기,
      방산산업
      몰리브데넘
      (Molybdenum)
      기밀 기밀 기밀 지토미르 0.09 mt 특수강, 합금,
      항공우주
      크롬
      (Chromium)
      기밀 기밀 기밀 키로보흐라드 0.7 mt 스테인리스강,
      내식합금
      탄탈럼
      (Tantalum)
      기밀 기밀 기밀 자포리자 기밀 전자기기,
      의료기기,
      특수 합금
      지르코늄
      (Zirconium)
      기밀 기밀 기밀 지토미르 기밀 내열 합금,
      원자로,
      항공우주

      ※ 참고: Mining Investment Opportunities: Critical Raw Materials(2024)

      ※ 일부 핵심 전략 광물의 정확한 매장량 및 생산량 데이터는 보안상의 이유로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 희토류는 반도체 제조, 고성능 배터리 및 강력한 전기모터, 항공우주, 국방 기술, MRI, 풍력 발전 터빈 등에 필수적인 소재이기 때문에 최근 희토류 확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① 우크라이나 내 매장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의 경우 대부분 항공우주, 배터리, 원자력 발전, 첨단산업에 필요한 자원들이며,

       

      ② 리튬, 코발트, 희토류 등은 러시아가 점령한 도네츠크, 자포리자 지역에 매장되어 있으며, 

       

      ③ 우크라이나 내 첨단산업에 투입되는 핵심 전략 광물 매장량이 기밀로 되어 있지만, 미국이 왜 우크라이나에게 광물 공동 개발 및 관리 협정을 체결하려고 했는지 생각해보면 우크라이나 내 핵심 전략 광물의 매장량이 상당할 것이라는 것을 유추할 수 있으며,

       

      ④ 미국이 공급망 재편 및 첨단 산업 육성을 위한 전략 자원 확보 차원에서 우크라이나 광물 개발 및 관리를 쉽게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 예상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내 분포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 분포를 나타낸 지도(출처: 우크라이나 지질 조사국, UGS)
      우크라이나 내 분포되어 있는 핵심 전략 광물들의 분포를 나타낸 지도, 특히 현재 러시아가 점령한 도네츠크 및 자포리자 지역에는 희토류가 풍부하게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Mining Investment Opportunities: Critical Raw Materials(2024), 출처: ​우크라이나 지질 조사국(UGS, Ukrainian Geological Survey))

       

       

      4. 시사점

       

      앞서 살펴보았듯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인 이유는 역사, 경제, 군사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전략적 행위이자 무력 행사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본문에 다룬 내용 외 우리가 알아야 할 요소들이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① 러시아의 완충지대(buffer zone)인 우크라이나
      역사적으로 러시아는 안보상의 이유로 서유럽과의 사이에 완충지대를 두는 전략을 유지해왔는데,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유럽 사이에 위치한 핵심 완충국이었습니다.

       

      그러나 만약 우크라이나가 EU에 가입될 경우 서방의 군사력(예를 들어 NATO)이 러시아 모스크바에 너무 가깝게 배치될 것이 우려되기 때문에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병합을 재빠르게 추진한 측면이 있습니다.

       

      ② EU VS EAEU
      러시아는 자국이 주도하는 유라시아 경제연합(EAEU, Eurasian Economic Union)을 통해 구소련 국가들을 자국 경제권에 묶어두려 했는데, 우크라이나가 EU로 가입될 경우 우크라이나를 시작으로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등이 연쇄적으로 이탈할 것을 우려한 측면이 있습니다.

       

      - 러시아와 EU 사이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 - 

      러시아와 EU 사이에 위치한 완충국인 벨라루스, 우크라이나를 나타낸 지도
      러시아 입장에서 EU 사이에 위치한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에 대해서 EU 가입을 필사적으로 반대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러시아 수도인 모스크바와 너무 밀접한 위치에 두 국가가 있기 때문입니다.(출처: 구글 마이맵스에서 자체 제작)

       

       

      이러한 이유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및 전쟁을 일으켰지만, 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군사적 피해 누적 및 국제사회의 제재를 받으며 불리한 상황에 처해있을 때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구원(?)으로 현재 상황이 반전되었습니다.

       

      반면에 우크라이나의 경우 EU와 협력하여 현재 상황을 타개하려고 하지만, 오랜기간 동안 EU는 군사적 준비가 부족했기 때문에 미국의 군사적 협력이 없는 상황에서 단기적으로 EU 단독으로 우크라이나를 지원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구심이 강하게 드는 상황입니다.

       

      즉, 피터 자이한의 저서인 'Disunited Nations'의 내용처럼, 국제사회는 현재 진정한 각자도생의 시대 및 탈세계화 그리고 무질서가 난무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대의명분 및 PC(Political Correctness, 정치적 올바름) 등과 같은 이념보다 실질적인 이익을 어떻게 창출하냐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우리나라가 생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생존하기 위해 어떤 대전략을 구상하고 실행해야 할까요?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초기 상황을 알고 싶으신 경우 '러시아 - 우크라이나 전쟁, 그 배경과 현재 상황' 및 '(7) 경제학으로 본 러시아와 바그너 그룹 간 갈등: 치킨게임의 관점에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1. THE MINERAL RESOURCES OF UKRAINE(2022.5.17.), 출처: Tierra y Tecnología, https://www.icog.es/TyT/index.php/2022/05/the-mineral-resources-of-ukraine/

      2. Ukraine’s critical minerals and Europe’s energy transition: A motivation for Russian aggression?(2022.7.21.), 출처: 중동 연구소(Middle East Institute), https://www.mei.edu/publications/ukraines-critical-minerals-and-europes-energy-transition-motivation-russian-aggression

      3. Mining Investment Opportunities: Critical Raw Materials(2024), 출처: ​우크라이나 지질 조사국(UGS, Ukrainian Geological Survey)

      Mining Investment Opportunities(Critical Raw Materials).pdf
      6.74MB

       

      4. Breaking Down the U.S.-Ukraine Minerals Deal(2025.2.27), 출처: 전략국제연구센터(CSIS,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https://www.csis.org/analysis/breaking-down-us-ukraine-minerals-deal

      5. US says all sides must make concessions in Ukraine talks covering land and security(2025.2.18.),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us-says-all-sides-must-make-concessions-ukraine-talks-covering-land-security-2025-02-18/

      6. US and Russia forge ahead on peace talks, without Ukraine(2025.2.18),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europe-says-it-is-committed-ukraine-ahead-russia-us-talks-2025-02-18/

      7. UN Security Council adopts neutral US stance on war in Ukraine as Trump pursues end to conflict(2025.2.24.),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europe/europeans-win-un-clash-with-us-over-rival-ukraine-resolutions-2025-02-24/

      8. Trump and Zelenskiy clash, leaving Ukraine exposed in war with Russia(2025.2.28.), 출처: Reuters, https://www.reuters.com/world/trump-zelenskiy-sign-minerals-deal-white-house-meeting-2025-02-28/

      9. Security Council resolution 2774 (2025) [on imploring a swift end to the conflict between Ukraine and the Russian Federation], 출처: United Nations Digital Library, https://digitallibrary.un.org/search?c=Voting+Data&cc=Voting+Data&ln=en

      10. Russian Offensive Campaign Assessment, March 1, 2025, 출처: 미국전쟁연구소(Institute for the Study of War), https://understandingwar.org/backgrounder/russian-offensive-campaign-assessment-march-1-2025

      11. 유엔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https://www.fao.org/faostat/en/#data/TCL

      12. Ukraine, Moldova and Belarus - Crop Production Maps, 출처: 미국 농무부(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https://ipad.fas.usda.gov/rssiws/al/up_cropprod.aspx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