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우선주의
-
(37)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8. 23:24
목차오늘은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에 이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에 대해 분석하고자 합니다. 다음은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부과 행정명령을 서명한 이후의 진행 내용을 정리한 표입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관세부과 내용 - 국가 기존 관세율* 트럼프 2기 추가 관세 총 관세율 적용 품목 면제 품목 추가 조치 시행 일정 캐나다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석유·천연가스에 10%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0%~25%+25% 추가최대 50%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
(36)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 1기 행정부의 관세전쟁 분석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2. 7. 01:08목차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1월 31일 관세 부과 행정명령*을 통과시키면서 2월 3일부터(2월 1, 2일은 토, 일요일) 세계 경제 전반의 지표들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과 같이 관세 부과에 대한 행정명령을 통과시켰습니다. -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부과 내용(2025년 1월 31일) - 국가관세율적용 범위면제 품목추가 조치시행 일정캐나다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의약품, 농산물, 필수 소비재에너지 제품(석유·천연가스)에 10% 관세 추가 부과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멕시코25%대부분의 수입 제품 (Most Imported Goods)식량, 의약품 등 일부 필수 품목없음3월 초까지 유예 (협상 결과)중국10%특정 수입 제품 (S..
(35)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미국우선주의 vs 연준의 독립성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26. 19:27목차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파격적인 행보를 보면서 많은 사람들이 여러 의견을 쏟아내고 있지만, 그의 메시지는 아주 단순하고 명확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미국우선주의, 맞대응 전략(tit for tat), 타협과 양보를 우선하지 않는 태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데,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일관되게 유지해 왔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일관성은 트럼프 및 미국의 입장에서 다른 나라와 협상 시 매우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즉, 상대방은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입장을 쉽게 번복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한 후 전략적 행위를 펼치기 때문에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적이게 됩니다. 물론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당연히 미국의 강력한 국력(세계 공통어인 영어에서 기반하는 문화 파급력, 기축통화인 달..
(33) 경제학으로 본 트럼프의 WHO 탈퇴와 미국 우선주의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22. 15:36목차2025년 1월 21일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 명령 중 하나로 미국의 세계보건기구(WHO) 탈퇴를 승인했습니다.(출처 → BBC 'Trump orders US to leave World Health Organization') 트럼프 대통령은 2020년 7월 미국의 WHO 탈퇴를 공식 선언했었지만, 같은 해 있었던 대선에서 바이든 대통령에 패하면서 해당 선언이 무산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공식 임기 시작 후 9시간 만에 미국의 WHO 탈퇴를 승인한 것을 미루어 볼 때 트럼프 대통령의 WHO 탈퇴에 대한 신호는 대내외적으로 명확히 전달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왜 미국의 WHO 탈퇴를 원할까요? WHO 탈퇴를 통해 미국과 트럼프 대통령이 얻는 이점이 무엇일까요? ..
(30)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3. 파나마 운하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14. 14:15목차오늘은 최근 미국이 보여준 영토 확장과 관련된 (28)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1. 그린란드, (29)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2. 멕시코만에 이어 마지막인 '파나마 운하'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최근 다음과 같이 파나마 운하에 대해 지속적인 언급을 하였습니다. - 2025년 1월 7일, 워싱턴에서 기자회견→ 파나마 운하의 통행료가 현재 너무 높다는 점을 언급하며, 미국이 다시 운하를 통제하기 위해 군사적·경제적 압박을 배제하지 않겠다고 언급했습니다. - 2025년 1월 8일, 뉴욕에서 언론 인터뷰→ 파나마 운하 내 중국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미국이 강력히 개입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 202..
(29)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2. 멕시코만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11. 23:53목차 안녕하세요, 오늘은 '(28)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1. 그린라드'에 이어, 멕시코만에 대해 다루고자 합니다. 2025년 1월 7일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멕시코만(Gulf of Mexico)의 명칭을 아메리카만(Gulf of America)으로 변경하겠다고 기자회견에서 발표했습니다. 그렇다면 16세기부터 멕시코만으로 불린 해당 지역의 명칭을 바꾸겠다는 트럼프 당선인의 말에 숨겨진 의도는 과연 무엇일까요? 이에 대한 내용을 다루기에 앞서 이와 유사한 국가간 명칭 분쟁 사례를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국가간 명칭 분쟁 사례 (1) 동해(East Sea) vs 일본해(Sea of Japan) 1) 일본은 국제적으로 'Sea of Japan' 명칭을 유지하..
(28) 경제학으로 본 미국의 영토 확장 전략 chapter 1. 그린란드생각보따리/경제학으로 본 세상 2025. 1. 8. 20:26목차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아직 공식적으로 업무를 시작하지 않았지만...)가 그린란드, 멕시코만 그리고 파나마 운하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뉴스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미국은 아래 표와 같이 영토를 확장해 전례가 있기 때문에 저는 이번 행보도 심상치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미국의 주요 영토 확장 사례 -영토연도방법세부 내용루이지애나 매입(Louisiana Purchase)1803프랑스로부터 매입- 미국이 프랑스로부터 1,500만 달러에 미시시피 강 서쪽에서 로키 산맥 동쪽까지의 광대한 영토를 구매(영토 면적: 약 214만 평방킬로미터)플로리다 합병 (Florida Acquisition)1819아담스-오니스 조약 (스페인과 협상)- 스페인이 플로리다를 미..
반응형